논문 상세보기

족욕을 통한 중장년층의 정서적 안정감 증진에 관한 탐색적 연구 KCI 등재후보

An Exploratory Study on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in Middle-Aged Adults through Footbath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족욕이 개인의 정서적 안정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정서적 안정감은 감정 조절과 자 아 수용, 심리적 균형 유지에 핵심적인 요소로,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비약물적 자기돌봄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족욕은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신체·심리 통합 치유활동 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 정서적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 구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족욕 체험 참여자 16명이며, 중장년층(40세~64세)을 중심으로 유의표집 하였다. 자료는 반구 조화된 심층면담과 체험일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내용분석을 통 해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족욕은 신체 이완과 감 각 정화, 감정 인식과 정서 조절, 자기돌봄의 자각, 심리적 거리 두기와 삶의 재정렬이라는 네 가지 핵심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참여자들은 족욕을 통해 긴장 완화, 감정 안정, 내면 회복의 경 험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정서적 안정감 향상과 직접적으로 연결 되었다. 본 연구는 족욕이 정서적 치유를 위한 일상적 실천 도구로서 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 및 중장년층 정 서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footbathing on enhancing emotional stability. Emotional stability, a core element of emotion regulation, self-acceptance, and psychological balance,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non-pharmacological self-care approaches. Sixteen middle-aged adults (40–64 year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and data from semi- structured interviews and journal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themes: physical relaxation and sensory cleansing, emotional awareness and regulation, selfcare awareness, and psychological distancing with life reorganization. Participants reported tension relief, emotional stabilization, and inner recovery through footbathing, which were directly linked to improved emotional stability.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s that footbathing can serve as an accessible and meaningful self-care strategy, offering both psychological and practical benefits. These findings highlight its potential as a daily emotional healing practice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for middle-aged adults.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1.3 연구 문제
    1.4 연구 방법
2. Theoretical Background
    2.1 현대인의 심신 건강과 대체 치유의 필요성
    2.2 족욕의 정의 및 구성요소
    2.3 정서적 안정감의 개념과 이론적 틀
3. Review of previous research
    3.1 족욕과 심신 건강 관련 연구
    3.2 정서적 안정감과 치유 활동 관련 연구
4. Results of the Study : Structural Desig
    4.1 분석 및 범주화 절차 개요
    4.2 핵심 주제 및 하위 범주 설계 예시
    4.3. 참여자 진술 예시 제시 방식 (본문 구성 기준)
    4.4 주제별 결과 분석의 확장
    4.5 도출 결과의 도식화 (결과 요약)
5. Analysis and discussion
    5.1 연구 요약 및 주요결과
    5.2 이론적·실천적 시사점
    5.3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제언
    5.4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방향
References
저자
  • 서일정(Top Lecturer Executive Program, Future Education Center, Korea Univ.) | Iljeong Se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