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석 컬러 테라피의 치유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Art Healing Function of Calligrap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보석은 오랜 역사 속에서 장식적 기능을 넘어 심리적 안정과 영적 상징의 매개체로 사용되어 왔으며, 색채는 인간의 정서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수의 연구에서 검증되어 왔다. 본 연구는 보석 컬러 테라피의 치유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보석치유와 색채치료의 개념 적 기초를 정리하고, 보석 컬러 테라피가 심리적 치유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보석 컬러 테라 피는 색채의 정서적 안정 효과와 보석의 상징적 의미를 결합하 여 불안 완화, 자기성찰 촉진, 대인관계 증진 및 사회적 웰빙 강 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담과 심리치료 현장 에서는 내담자의 자기표현 촉진 도구로, 교육 및 평생학습 현장 에서는 학습자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강화 자원으로, 웰니스 산 업에서는 차별화된 치유 프로그램으로,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통 합예술치유의 확장 모델로 적용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는 보석 컬러 테라피의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고 활용 가능성을 탐색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예술치유 및 보완대체요법과의 융합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 고 효과적인 치유 모델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Jewelry has been used as a medium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iritual symbol beyond its decorative function in its long history, and color has been proven in a number of studies a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human emotions an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rapeutic value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gem color therapy.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ual basis of jewelry therapy and color therapy was summarized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the possibility that jewelry color therapy can act as a psychological healing resource was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jewelry color therapy can contribute to alleviating anxiety, promoting self-reflection, promo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social well-being by combining the emotional stability effect of color and the symbolic meaning of jewelr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tool to promote self-expression of clients in the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ield, as a resource to strengthen learners‘ creativity and self-esteem in the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field, as a differentiated healing program in the wellness industry, and as an extended model for integrated art therapy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academic foundation for jewelry color therapy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ts use in an exploratory manner. In future studies, empirical studies considering various ages and cultural contexts are needed, and through fusion with other art therapy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a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healing model can be developed.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1.1 연구 배경
2. Theoretical Background
    2.1 보석 치유의 개념과 역사
    2.2 색채치료의 심리학적 기초
    2.3 보완·대체요법의 의의와 확산
3. 선행연구 고찰
    3.1 국내 선행연구
    3.2 국외 선행연구
4. 보석 컬러 테라피의 치유적 가치
    4.1 정서적 안정 효과
    4.2 자기성찰과 자아인식 촉진
    4.3 사회적 웰빙과 관계 증진
    4.4 웰니스 및 치유문화 확산과의 연계
5. Results
    5. 보석 컬러 테라피의 활용 가능성
        5.1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
        5.2 교육 및 평생학습 분야
        5.3 웰니스 및 힐링 산업
        5.4 문화예술 및 통합예술치유 분야
6. Discussion & Conclusion
    6.1 논의
    6.2 결론
References
저자
  • 조영란(Professor, Youngdong University, President, Korea Jewelry Color Therapy Promotion Institute) | Youngran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