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lternative Reflection on Korean Culture to Enhance Cultural Sensitivity KCI 등재

문화감수성 향상을 위한 한국문화의 대안적 성찰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현재의 문화 교육이 지니는 근본적인 문제는 과거와 현재, 자국과 타국의 문화를 이분법적으로 바라 보고 개별적 정보 위주의 접근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바람직한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문학적 인 관점, 비교문화적인 관점, 통시적인 관점을 적용하여 문화와 예술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안목을 확보 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상호 문화 역량과 문화 수용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문화 현상 간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본론에서는 두 단계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 영웅 서사의 연원과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총괄적 논의를 위한 단서를 마련하였다. 전통 서사의 문화적 의미와 미학 적 원리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인류의 문화가 보편성의 차원에서 상호 소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대 디지털콘텐츠에 활용된 문화 요소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생활과 예술 분야에 나타나는 문화적 정체성과 시대적 변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성숙한 문화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에서 출발하며, 문화 요소 전반을 관통할 수 있는 감식 능력과 소통 능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바람직한 문화 교육은 창의적인 미래 문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temporary cultural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a fundamental problem: it employs a dichotomous perspective, examining past and present, domestic and foreign cultures as discrete entities, and remains fixated on individual pieces of informa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cultural education through a reflective approach to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 this end, we sought to secur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encompassing culture and art by applying humanistic, comparative, and diachronic perspectives. In an effort to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cultural accepta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cultural phenomena was undertaken. The primary text delineated the discourse into two phases. First, by exploring the origins of Korean heroic narratives and their potential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a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discussion was established. A re-examination of the cultural meaning and aesthetic principles of traditional narratives has confirmed the capacity of human cultur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level of universality. Secondly,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of the cultural identity and changes over time that appear in Korean life and the arts, with a focus on cultural elements utilized in modern digital conte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mature culture is contingent upon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of diversity and the capacity to discern and communicate across all cultural elements. It is imperative that cultural education be designed to cultivate the capacity for individuals to assume leadership roles in shaping a future culture characterized by creativity and innovation.

목차
ABSTRACT
1 | INTRODUCTION
2 |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NARRATIVES
    2.1 | The Aesthetic Principles of Traditional Narratives
    2.2 |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Heroic Narratives
3 | ALTERNATIVE REFLECTION ON Korean TRADITIONALCULTURE
    3.1 | Lifestyle Culture
    3.2 | Artistic Culture
4 |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So In-ho(Professor, College of Liberal Arts, Cheongju University, South Korea) | 소인호 (청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 Yoo Yo-moon(Research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of Jeompiljae, Busan University, South Korea) | 유요문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연구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