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폴리(2-에티닐-N-플로로헥실피리디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 합성과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2-ethynyl-N-perfluorohexylpyridinium tetraphenylborate)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0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부피가 큰 테트라페닐보레이트를 대응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공액구조 고분자 전해질을 소듐 테트라페닐 보레이트를 이용한 폴리(2-에티닐-N-퍼플루오로헥실피리디늄 아이오다이드)의 이온교환반응을 통해 합성하였다. 여 러 가지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고분자 구조를 분석한 결과, 합성한 고분자는 N-퍼플루오로헥실피리디늄 테트라페닐 보레이트 치환기를 갖는 폴리아세틸렌 주쇄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폴리(2-에티닐-N-플로로헥실피리디늄 테트라페 닐보레이트)의 전기-광학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고분자의 흡수 스펙트럼에서 최대 흡수 피 크는 330nm와 466nm에서 관찰되었다. 전기화학적 특성 시험의 50 주기의 연속 스캔 실험을 통하여 본 고분자의 산화 및 환원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이 고분자는 도핑과 탈도핑 피크 사이에서 비가역적인 전기화학 거동을 보였 으며 동역학적 확산 거동을 보였다.

An ionic conjugated polyelectrolyte with bulky tetraphenylborate counter anions was easily synthesized via the ion-exchange reaction of poly(2-ethynyl-N-perfluorohexylpyridinium iodide) using sodium tetraphenylborate. The various instrumental methods revealed that the resulting polymer has a polyacetylene backbone system with bulky N-perfluorohexylpyridinium tetraphenylborate substituents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corresponding poly(2-ethynyl-N-perfluorohexylpyridinium tetraphenylborate) have been measured and discussed. The absorption spectrum of the polymer has absorption maximum peaks of 330 nm and 466 nm. The oxidation and reduction stability of the polymer was shown under the consecutive scans of 50 cycles. The material showed a diffusion process in the kinetics behavior, and the irreversible electrochemical behaviors were observed between the doping peaks and the undoping peaks.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xperimental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s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제갈영순(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Yeong-Soon Gal (Department of Fire Safety, Kyungil University, Gyeongsangbuk-do, 3842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진성호(부산대학교 화학교육과) | Sung-Ho Jin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79, Korea)
  • 박종욱(경희대학교 화학공학과) | Jongwook Par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Kyunghee University, Suwon 17104,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