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GLP-1 사용자 맞춤형 식이 교육 프로그램 설계 : 기능성표시식품(렌틸라 땅콩버터) 활용 모델 KCI 등재

Design of a Dietary Education Program Tailored for GLP-1 Users: A Model Utilizing Functionally Labeled Foods (Lentil-Based Peanut But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세마글루타이드(Wegovy®), 티르제파타이드(Mounjaro®) 등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최근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에서 핵심적인 약제로 자리매김하였으나, 복용자들은 여전히 불규칙한 간식 섭취 등 생활습관 요인으로 인해 식후 혈당 스파이크를 경험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문헌 기반의 개념적 식이 교육 모델을 제안 하였다. 문헌고찰 결과, 바나바잎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코로솔 산은 포도당 수송 억제 및 인슐린 감수성 개선 효과가 보 고되었으며, 렌틸콩은 저당지수 식품으로 혈당 상승 완화 및 지속적 포만감 유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땅콩은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포만감을 증진시키고, 간식 대체식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식품으 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과학적 근거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렌틸콩 ·바나바잎·땅콩의 복합 기능을 통합한 기능성표시식품(렌 틸라 땅콩버터)을 활용한 GLP-1 사용자 맞춤형 식이 교 육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모델은 ① 기능성표시식품을 이 용한 간식 치환 개념, ② 식품표시(라벨 리터러시) 교육 모듈, ③ 향후 검증 가능한 평가 지표 후보군(SMBG, 포 만감, 간식 치환율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시된다. 본 논문은 새로운 인체대상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문 헌 기반 연구로서, 향후 IRB 승인을 거친 파일럿 연구를 통해 모델의 실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 근은 GLP-1 사용자들의 생활습관 개선과 기능성표시식품 제도의 활용성 제고를 통해 약물치료를 보완하는 새로운 식이 전략의 기초를 제공하며, 공중보건적 관점에서도 의 미 있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glucagon-like peptide-1 (GLP-1) receptor agonists, such as semaglutide (Wegovy®) and tirzepatide (Mounjaro®),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complementary dietary strategies to support glycemic control. Despite pharmacological treatment, numerous users experience challenges with postprandial glucose spikes owing to irregular snacking behaviors.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literature-based educational model featuring a functional peanut butter formulated with lentil (Lens culinaris) and banaba leaf (Lagerstroemia speciosa) extracts containing corosolic acid.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ssess evidence supporting the role of lentils, peanuts, and banaba leaf extracts in glycemic control. Based on this evidence, a conceptual, literature-based dietary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for GLP-1 users, integrating functionally labeled lentil-based peanut butter as a snack replacement and structured modules on food labeling and glycemic management. This study does not include novel human data but outlines hypotheses, operational modules, and anticipated mechanisms to support future pilot testing under appropriate ethical approval.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Ethical Considerations
Results and Discussion
    문헌 근거
    예상 결과
    교육모델 효과
    논의 및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조가흔(온핸드컴퍼니) | Gaheun Cho (OnHand Company, Iksan,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여정수(온핸드컴퍼니) | Jeongsu Yeo (OnHand Company, Iks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