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ourism and Welfare Facilities in Hoguk-gwan as a Successor to Buddhist Heritage
본 연구는 불교 유산을 승계한 호국관의 문화관광복지시설 구현을 연 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24년 6월 28일부터 2025년 6월 27일까지 자연과 인간,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팔공산 동화사를 대상으로 현 장 조사, 기존 불교문화 유산 실태, 각종 자료, 호국관이 조성되는 건설 과정의 전반에 대한 관찰과 실증을 병행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설계도 서, 고건축 양식 기법, 현대 건축재료의 시공 과정을 집중적으로 파악하 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조선시대 구국의 상징적 인물인 의승 장 사명대사의 호국 업적을 연계한 스토리텔링으로 호국사상이 살아 있 는 지역의 특성인 호국사찰의 역사를 대변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 둘 째, 불교 건축은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시대적 의미와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역 불교문화 유산 의 보존·활용·향유·관심·참여·체험의 관광자원으로 지역 불교문화 유산 에 대한 호국사찰의 활성화를 추진한다. 셋째, 불교문화와 건축을 승계 한 사명대사 호국관은 우리의 고건축으로 조선시대에 성행한 익공양식 으로 재현하였다. 이는 국내 최고의 RC 전통 목구조 건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호국관을 중심으로 이미지 부각 및 지역 문화관광복지의 가치를 재해석하고 이를 재조명하여 지역 문화관광복지시설로 운영하여 야 한다. 향후 제언, 조선시대 의승장 사명대사의 호국 업적을 정성껏 건축에 녹여 담아서 구현된 호국관을 통하여, 사명대사의 공훈을 배우고 숭고한 뜻을 발현시켜서 과거·현재·미래가 공존하는 미래 지향적인 복 합 문화관광복지시설 이미지로 지역을 발전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tourism and welfare facilities at Hoguk-gwan, which carries on the legacy of Buddhist heritag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Donghwasa(Temple) on Palgongsan Mountain a place where nature, humanity, history, and culture coexist. From June 28, 2024, to June 27, 2025,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on-site field investigations,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alysis of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direct observation of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of Hoguk-gwan. As research tools, design blueprints,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s, the construction processes involving modern building materials were intensively examined and analyze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serves as a means of representing the history of Hoguk temples those symbolizing the regional spirit of national defense through storytelling that connects the patriotic achievements of Samyeong Daesa, a symbolic figure of national salv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Second, Buddhist architecture inherently contains both th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design and profound symbolic and historical meanings. Based on these values, this study proposes revitalizing regional Buddhist heritage through cultural tourism that emphasizes preservation, utilization, enjoyment, public interest, community participation, and hands-on experience. Third, The Samyeong Daesa Hoguk-gwan, which carries on the legacy of Buddhist culture and architecture, has been reconstructed in the Ik-gong style a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 that flour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finest examples of RC-based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in Korea. Hoguk-gwan should serve as a focal point for enhancing its symbolic image, reinterpreting its cultural value, and operating it as a regional cultural tourism and welfare hub. Future Recommendation. Through Hoguk-gwan, which faithfully embodies the patriotic legacy of Samyeong Daesa an eminent Buddhist general of the Joseon Dynasty the region should cultivate a future-oriented, integrated cultural tourism and welfare facility whe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harmoniously coexist. By learning from his achievements and honoring his noble spirit, this space can become a symbol of enduring historical value and region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