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아동 세대통합 한궁체인지 참여가 노인 행복감과 아동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Elderly-Child Generation Integrated Cognitive Participation on Elderly Happlness and Child Filial Pie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5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아동 세대통합 한궁체인지 참여가 노인 행복감 과 아동 효의식의 주요 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고 분 석하여 노인의 행복감과 아동의 효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하 고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 대해 노인-아동 세대 통합을 통한 한궁체인 지 활동에 실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과 아동이 세대를 통합하여 함께하는 한궁체인지 참여활동, 노인의 행복감 및 아동 의 효의식으로 구성된 연구 모델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노인-아동 세 대통합을 이룬 한궁체인지 활동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 의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조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filial piety of children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a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happiness and the main variables of the child's filial piety,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on the Hangung cognitive activiti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elderly and children's generations.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the Hangung cognitive participation activity in which the elderly and children unite generations,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filial piety of the child. Accordingly, the effect of the Hangung cognitive activity that achieved the integration of the elderly and children's generation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the children's filial piety was identified and analyz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investigated.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아동 세대통합 한궁 체인지 참여
    2. 노인의 행복
    3. 아동의 효 의식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가설검증
    3. 가설결과 정리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함의
    3. 제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외승(성산효대학원대학교 교수)
  • 이영구(성산효대학원대학교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