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disciplinary team teaching training to improve the ability to utilize historical cont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major
본 연구는 <동아시아근대사> 수업의 강의와 사료 중심 수업 방식이 학 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협력 학습,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및 학습 동기 유발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각 분야 전문가와의 팀 티칭 수업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수업 후 진행된 학생 수 업 만족도 조사 결과, 팀티칭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 나 적용된 교육 방법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콘텐츠 제작 능력 등 디지털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데 큰 도 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개선이 필요한 점들도 도출 되었다. 생성형 AI 도구의 실습 시간 확보 및 학생들의 콘텐츠 역량 강 화를 위해, 수강 신청 전 디지털 역량 조사를 통한 교육과정의 반영과 정규 교육과정 외 보충 학습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팀 활동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여 문제점을 사전에 식별하고 체계적으로 관 리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했다.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lecture and feed-oriented teaching method of the <East Asian Modern History> class has limitations i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learning,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and motivation for learning, and attempted to improve the problems through team teaching classes with experts in each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ent class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after class,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team teaching class was high, confirming that the applied education method was effective. However, some improvements were also derived. In order to secure Generative AI training time and strengthen students' content competencies, supplementary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by reflecting the digital competency survey before registering for the cours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team activity management system and systematically manag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