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 학습 맥락에서의 중국인 유학생 메타인지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etacogni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9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메타인지 능력 을 파악해 봄으로써 한국어 학습을 스스로 해야만 하는 학부생의 자기주 도적 학습 능력을 견인할 메타인지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부의 특정 교과목의 중국인 수강생 102명의 학습 경험, 학 습 전략, 학습 성찰에 관한 서술형 응답을 수집하고, 문헌 검토를 통해 메타인지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조절을 대범주로 설정한 후 개방 코딩 절 차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인지적 지식 측면에 비해 메타인지적 조절 측면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 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에서는 다양한 학습 전략에 대한 지식 제공과 더불어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학습 방법 평가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메 타인지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acognitive abilities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seek ways to activate metacognition for cultivat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mong undergraduates. To this end, descriptive responses regarding learning experiences, learning strategies, and reflection were collected from 102 Chin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wo main categories were establishe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an open coding proced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gulation’ was relatively deficient compared to ‘knowledge’. Therefore,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metacognitive training is necessary. This training should not only provide knowledge about various learning strategies but also cultivate the ability to systematically establish 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e learning method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1. 메타인지 연구
    2.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의 메타인지 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Ⅳ. 결과 분석
    1. 메타인지적 지식 측면
    2. 메타인지적 조절 측면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원경(성균관대학교) | Wonkyung Kim (SungKyunKwan University)
  • 구민지(가톨릭대학교) | Minji Koo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