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19:4-6과 베드로전서 2:9은 전문인 선교의 성서적 기초를 제시하는 핵심 본문이다. 출애굽 공동체의 정체성은 ‘하나님의 소유’, ‘제사장 나라’, ‘거룩한 백성’으로 규정된다. 이는 그들 존재 자체가 열방을 향한 증언이고 ‘제사장적’ 사명을 부여받았음을 뜻한다. 베드로전서 2:9은 구약의 제사장적 정체성이 교회로 승계되어, 모든 그리스도인이 가정과 일터를 포함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과 세상을 중재하는 ‘왕 같은 제사장’의 선교적 삶을 살아야 함을 선포한다. 따라서 전문인 선교는 단순한 선교전략을 넘어, 교회의 가장 본질적인 정체성인 ‘선교적 실존’을 구현하는 ‘존재론적 사명’이다.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전문성을 통해 일터를 하나님의 통치가 실현되는 ‘하나님의 선교’ 현장으로 만들고, 영적 예배를 통해 총체적 변혁을 추구하는 문화적 중재자가 되어야 한다.
Ex 19:4-6 and 1Pet 2:9 establish the biblical foundation for professional missions. The Exodus community as God’s possession, a kingdom of priests, and a holy nation signifies that their very existence is a testimony to the nations and that they have been entrusted with a priestly mission. 1Pet 2:9 proclaims that the priestly identity of the Old Testament is inherited by the Church, declaring that all Christians should live a missional life as a royal priesthood, mediating between God and the world in every sphere of life. Therefore, professional missions are an ontological calling that embodies the church’s most essential identity as a missional existence. Christians should transform their workplaces into sites of Missio Dei where God’s reign is realized, becoming cultural mediators who pursue holistic trans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