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효과적인 잘파(Z-Alpha) 세대 전도를 위한 확장된 다중심적 전도 접근 KCI 등재

A Study of Expansive Polycentric Evangelism Approach for Effective Z-Alpha Generation Evangel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60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잘파 세대(Z세대와 알파세대)는 디지털 네이티브로 대표되는 세 대로서 이들은 종교적 소속감과 신앙의 실천 방식에서 전통적인 기성세 대와는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들은 단일화된 교회 중심의 소속감 보다는 다중적이고 유동적인 네트워크의 관계 속에서 연결된 소속감에 익숙하며, 디지털 공간을 통해 영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에 자연스럽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잘파 세대의 효과적인 전도를 위해 확장된 다중심적 전도(Expansive Polycentric Evangelism) 접근법을 제시 한다. 이 접근법은 다중심적 선교학(Polycentric Missiology)과 네트 워크 종교(Networked Religion)를 이론적 기초로 하여 전도가 실행되 는 영역을 디지털 영역과 세속적인 공간까지로 확장된 영적 공간 (Expansive Sacred Space)의 개념을 도출한다. 그 영역에서 이루어 지는 확장된 다중심적 전도의 핵심적인 세 가지 요소로서 디지털 접점, 중간 공간, 공동체 통합을 제시하여 잘파 세대를 위한 효과적인 전도 접근법을 제안한다.

As digital natives, the Z-Alpha generation is shifting religious belonging from a single, church-centric identity to multiple, fluid, networked affili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n Expansive Polycentric Evangelism approach for effectively reaching the Z-Alpha generation. Grounded in Polycentric Missiology and Networked Religion, this approach derives the concept of Expansive Sacred Space, extending the domain of evangelism to encompass digital realms and secular spaces. It proposes three core elements for Expansive Polycentric Evangelism within this space including, Digital Touchpoint, Middle Space, and Community Integration, to offer an effective evangelism approach for the Z-alpha generation.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론적 고찰
    1. 다중심적 선교학 (Polycentric Missiology)
    2. 네트워크 종교 (Networked Religion)
    3. 확장된 영적 공간 (Expansive Sacred Space)
III. 확장된 다중심적 전도(EPE)의 3요소
    1. 디지털 접점 (Digital Touchpoint)
    2. 중간 공간 (Middle Space)
    3. 공동체 통합 (Community Integration)
IV. 나가는 말
주제어
Abstract
참고 문헌
저자
  • 이승병(주안대학원대학교 교수, 선교학) | Seung Byoung Lee (Juan International University, Intercultural Studies)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