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의 미생물오염(微生物汚染)에 관(關)하여

Microbiological Studies on Feed Supplem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6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시판(市販)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에 대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오염정도(汚染程度)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國內)에서 판매(販賣)되고 있는 비타민과 횡물질(鐄物質) 사료첨가제(飼料添加劑) 36개(個) 품목(品目) 총(總) 81례(例)의 시료(試料)를 시험(供試)하여 일반세균(一般細菌) 및 대장균군(大腸菌群)의 오염상태(汚染狀態)를 검사(檢査)하고 아울러 시료(試料)로부터 분리(分離)한 83주(株)의 대장균군(大腸菌群)에 대한 Am등(等) 8종(種)의 항균성낙제(抗菌性樂劑)에 대한 내성빈도(耐性頻度) 및 내성정도(耐性程道)를 파악하였으며 내성균(耐性菌)에 있어서는 내성양상(耐性樣相)과 R plasmid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일반세균(一般細菌)은 시료(試料) 81례(例) 모두 양성(陽性)이었으며 대장균군(大腸菌群)은 81례중(例中) 14례(例)(17.3%) 에서만 양성(陽性)이었다. 일반세균수(一般細菌數)의 분포(分布)는 g당(當) 10미만에서부터 1,400,000까지 다양(多樣)하였으며 그 중(中) 100~1,000/g이 34례(例)(42%)로 가장 많았고 대장균군(大腸菌群)에 있어서는 일반세균(一般細菌)의 오염도(汚染度)가 높을수록 분리율(分離率)이 높았으며 총(總) 18개(個) 제조회사중(製造會社中) 6개사(個社)(33.3%)의 제품(製品)에서 양성(陽性)이었다. 공시균(供試菌) 83주중(株中) 41주(株)(49.4%)가 fecal coliform이었다. 공시균(供試菌)에 대한 약제별(藥劑別) 내성균출현율(耐性菌出現率)은 sulfadimethoxine (Sa)에 대해 92.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treptomycin (Sm)에 67.5%, tetracycline (Tc)에 50.6%, kanamycin (Km)에 26.5%, chloramphenicol(Cm)에 18.1%, ampicillin(Am)에 15.7% 순(順)이었으며 nalidixic acid(Na)와 gentamicin (Gm)에는 전주(全株)가 감수성(感受性)이었고 각공시(各供試) 약제(藥劑)에 있어서 non-fecal coliform에 비하여 fecal coliform의 내성균출현율(耐性菌出現率)이 높았다. 공시균(供試菌)의 최소발육저지농도(最小發育沮止濃度)(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분포(分布)는 Am 및 Km에 대하여 MIC가 이상(以上)인 고도(高度)의 내성(耐性)을 가진 균(菌)이 각각(各各) 7주(株) 및 3주(株)이었으나 대부분의 내성균(耐性菌)은 그 MIC가 이었고, Cm, Sm 및 Tc에 대한 내성균(耐性菌)의 대부분은 에서 의 범위(範圍)이었다. 공시균(供試菌) 83주중(株中) 79주(株)(95.2%)가 공시(供試)한 약제(藥劑) 1종(種) 이상(以上)에 내성(耐性)을 가졌으며 내성형별(耐性型別)로는 SaSm 내성형(耐性型) 및 Sa 단제내성형(單劑耐性型)이 각각(各各) 12주(株)(14.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aSmTc형(型) 10주(株)(12%), SaSmTcKm형(型) 7주(株)(8.4%), SaTc형(型) 7주(株)(8.4%) 및 SaSmKm형(型) 6주(株)(7.2%)의 순(順)이었으며 총(總) 19종(種)의 내성형(耐性型)이 관찰되었다. 내성전달시험(耐性傳達試驗) 결과(結果) 내성균(耐性菌) 79주중(株中) 32주(株)(40.5%)가 전달성(傳達性) R plasmid를 보유(保有)하고 있었으며 다제내성균(多劑耐性菌)일수록 내성전달률(耐性傳達率)이 높았다. 공시(供試) 약제별(藥劑別) 내성전달빈도(耐性傳達頻度)는 Am (100%) 및 Cm (80%)에서 매우 높고, 다음으로 Tc (38.1%), Sa (18.2%), Sm (17.9%) 및 Km (4.5%)의 순(順)이었다.

Eighty one products from 36 kinds of vitamin and mineral feed supplement collected during August, 1984 to February, 1985 were examined for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addition, 83 strains of coliform isolated from the samples were tested for the resistance to 8 kinds of antimicrobial drugs and distribution of R plasmid. General bacteria were detected in all of samples tested. Bacterial population was varied from less than 10 per gram of the sample to 1,400,000 per gram and 34 (42%) of 81 samples were contaminated with 100 to 1,000 cells per gram. Coliform isolation, which was more frequent in samples with larger number of general bacteria, was possible in 14 (17.3%) out of 81 samples tested and 6 (33.3%) out of 18 companies were coliform positive in their products. Forty one (49.4%) out of 83 coliform isolates were fecal coliform. The frequency of resistant strains was the highest to sulfadimethoxine (Sa) with 92.8% and followed by streptomycin (Sm, 67.5%), tetracycline (Tc, 50.6%), kanamycin (Km, 26.5%), chloramphenicol (Cm, 18.1%) and ampicillin (Am, 15.7%). No strain was resistant to nalidixic acid (Na) and gentamicin (Gm). The resistance frequency of fecal coliform strains were higher compare to non-fecal coliform strains. There wer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or higher in 7 strains to Am, 3 to Sm and 3 to Km, and 70 strains had MIC of of higher to Sa while Tc had MICs from to . All strains had MICs of of lower to Na and of lower to Gm. Seventy nine (95.2%) of 83 strains were resistant to one or more drugs tested. The most frequent resistance patterns were SaSm (14.5%) and followed by SaSmTc(12%), SaSmTcKm(8.4%) SaTc (8.4%) and SaSmKm (7.2%) ; total 19 different patterns were noted. Thirty two (40.5%) of 79 resistant strains were transferred all of a part of their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ML 1410. The frequency of transferable resistance was high in Am (100%) and Cm (80%) while low in Tc (38.1%), Sa (18.2%), Sm (17.9%) and Km (4.5%).

저자
  • 박수경(Dept. of Veterinary Medicine,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Park, Su Kyung
  • 탁련빈(Dept. of Veterinary Medicine,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Tak, Ryun B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