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입(導入) 마늘구(球)의 인편(鱗片) 특성(特性)

Clove Characteristics of Bulbs of Introduced Garlic Strai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67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초록

도입(導入) 마늘인 상해조생(上海早生)과 스페인계(系)를 대상으로 1990년산(年産)을 시장(市場)에서 구입(購入)하여 구중(球重)의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고 이들을 포장(圃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수확후(收穫後) 역시 구중(球重)을 크기별로 나누어 구(球)의 해부적(解剖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1. 구형(球型)은 두 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 일수록 편평형(扁平形)을 나타내었다. 2. 구당(球當) 인편수(鱗片數)는 구(球)가 큰것 일수록 인편수(鱗片數)는 증가(增加)하였으며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도 스페인계(系)는 상해조생(上海早生)에 비하여 구(球)당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3.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의 비교(比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은 1990년산(年産)의 외층(外層)에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이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의 구중(球重) 35g 이하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스페인계(系)에서는 1990년산(年産)의 구중(球重) 40g 이상에서는 내층(內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으나 1991년산(年産)에서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외층(外層)의 인편수(鱗片數)가 많았다. 공시(供試) 두계통(系統) 다같이 구(球)가 큰것일수록 외층(外層)에서나 내층(內層)에서 착생(着生)된 인편(鱗片)의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4. 일차인편수(一次鱗片數)와 총인편수(總鱗片數)의 차이(差異)는 두 계통(系統) 다같이 매우 적어 이차생장(二次生長)은 매우 적었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은 스페인계(系)보다 이차생장(二次生長)이 많은편 이었다. 5. 스페인계(系)와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0년산(年産)에서는 외층(外層)의 인편중(鱗片重)이 내층(內層)의 그것보다 뚜렷이 무거웠으나 상해조생(上海早生)의 1991년산(年産)에서는 이러한 경향(傾向)이 뚜렷하지 않았다. 6. 두 계통(系統) 다같이 소구(小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좁고 대구(大球)에서는 인편(鱗片)의 크기의 범위가 넓었다. 구(球)당 인편(鱗片)의 크기별 수의 빈도(頻度)는 구(球)의 크기에 관계없이 중간 크기의 인편(鱗片)에서는 그 빈도(頻度)가 많았으며 대구(大球)일수록 큰 인편의 수가 많았다. 동일(同一) 크기의 구(球)에서는 상해조생(上海早生)이 스페인계(系)보다 인편(鱗片)이 컸다.

Bulbs of two introduced garlic cultivars, Sanghae-joseng and Spain strain, were purchased in a market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individual bulbs. The materials used were planted and grown in the field. Bulbs harvest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eight and their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1. In both cultivars the larger the bulb, the more flat the bulb shape. 2. The bigger the bulbs were, the larger the number of cloves per bulb was, Spain strain had more cloves per bulb than Sanghae-joseng in the same size bulbs. 3. In Sanghae-joseng, more cloves were formed in outer layer than in inner layer in the bulbs produced in 1990. But more cloves were formed in inner layer in the bulbs of 35 g or smaller produced in 1991. In Spain strain, more cloves were formed in inner layer in the bulbs of 40 g or more produced in 1990. But more cloves were formed in outer layer in the bulbs produced in 1991 regardless of bulb size. In both cultivars, the number of primary cloves and total number of cloves was very small in both cultivars, but it was a little bigger in Sanghae-joseng than in spain strain. 5. In the bulbs produced in both 1990 and 1991 of Spain strain and in bulbs produced in 1990 of Sanghae-joseng weight of cloves in outer layer was significantly heavier than that in outer layer, the trend was not conspicuous in 1991 produce of Sanghae-joseng. 6. In both cultivars clove size range was narrow in small bulbs and wide in large bulbs. In distribution of cloves in size, medium ones were most frequent, and the frequency of large cloves increased with increased size of bulbs. Sanghae-joseng produced larger cloves than Spain strain in the same size cloves.

저자
  • 이우승(Dept. of Hort..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Lee, Woo Sung
  • 이하윤(Dept. of Hort.. Coll. of Agric., Kyungpook, Natl. Univ.) | Lee, Ha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