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산림자원 식물인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의 지역별 군락생태적 특징과 형태적 유전적 변이를 살펴본 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식생구성을 살펴보면 오대산과 함백산의 경우는 고목충의 우점종은 신갈나무이며 아고목 관목층은 당단풍, 쇠물푸레, 철쭉꽃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울릉도의 경우는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섬피나무, 마가목, 섬단풍나무가 고목층에 나타나며, 초본층에는 우점종인 산마늘과 함께 일색고사리, 섬말나리, 큰연령초의 피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오(1977)의 식물지리구계구분에서 울릉도를 울릉도아구로 별도로 구분하고 있는 것과 같이 내륙의 오대산, 함백산과 울릉도의 전반적인 식생구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형태적 인자에 대한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 결과 울릉도와 함백산 및 오대산의 두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울릉도의 산마늘은 함백산 및 오대산 지역과 비교하여 , band가 없고, 대신 band가 나타나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함백산과 오대산 두 지역의 산마늘에 있어서는 함백산에 band가 하나 더 있을 뿐이어서 동위효소 GOT에 의한 변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세 지역의 산마늘에 대한 유전적 변이에 있어 함백산과 오대산은 큰 차이가 없으나 이들 두 지역과 울릉도와는 변이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l. platyphyllum which growed wild in Mt. Hambaek, Mt. Odae, and Ullungdo. The tree layer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community in Mt. Hambaek and Mt. Odae wa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The tree layer of Ullungdo generally consist of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Acer triflorum, Sorbus commixta, and Tilia insularis. In the herb layer, Rumohra standishii, Trillium tschonoskii, and Lilium hansonii are common at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community in Ullungdo. The vegetation in Ullungdo was widely different from those in Mt. Hambaek and Mt. Odae by species composition.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Canonical Discriminent Analysis of by the 8 characters showed that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could be classified into 2 groups: (one ; Mt. Hambaek and Mt. Odae, the other ; Ullungdo). In PCA, the major factors in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group was angle of leaf apex. Variation of band by isozyme GOT(glautamate oxaloaccetate transaminase) is similar between Mt. Hambaek and Mt. Odae. However, Ullungdo differed from Mt. Hambaek and Mt. Odae in variation of b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