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량의 지간장과 고속전철하중 유효타격간격 사이의 관계에 따른 공진현상 KCI 등재

Resonance Phenomen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pan Length of the Bridge and Effective Beating Interval of High-Speed Tr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63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진공학회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초록

이동하중에 의한 교량의 공진현상은 차량의 속도와 유효타격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이동하중의 운행진동수와 교량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발생하게 된다. 철도교의 경우에는 정해진 열차만 통행하게 되므로 이러한 유효타격간격이 정량적으로 정해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전철하중을 받는 교량의 지간장 변화에 따른 교량의 공진현상과 공진소멸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강합성형 철도교에 대하여 판요소와 공간뼈대요소의 조합에 의한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고속전철하중은 이동집중하중 모델과 3차원 모델링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치예제로서 지간장 변화에 따른 수직처짐의 동적확대계수 상판의 최대수직가속도 단부회전각 등의 동적응답 분석을 통하여 고속철도 교량의 동적안정성에 적합한 지간장 설계기준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Resonance of the bridge can be occurred with the coincidence between a natural frequency of the bridge and a crossing frequency of moving loads which is determined from the speed and effective beating interval of the vehicle. In case of the railway bridge, the effective beating interval of the vehicle is fixed under the passage of specific trains. In the present study, resonance and cancellation of the bridge subjected to moving high-speed train are analyzed with the variations of span length. A steel-concrete composite railway bridge is idealized by the combinations of plate elements and space frame elements. High-speed train is idealized with moving constant forces and a 3-dimensional full modelling. From analyzing dynamic responses of D.M.F of vertical displacement, maximum vertical acceleration of the slab, and end rot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span length of the bridge, design criteria of span length of the bridge which satisfies dynamic safety is discussed.

저자
  • 김성일
  • 곽종원
  • 장승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