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easurement of the Radiolysis Gases Generated in Several Waste Forms by External Irradiation KCI 등재 SCOPUS

-조사에 의한 방사성폐기물의 방사분해가스 발생량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03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붕산폐액을 함유한 시멘트 및 파라핀 고화체, 폐이온교환수지를 함유한 시멘트 고화체 그리고 잡고체중의 제염지에 대하여 Co-60을 조사선원으로 하여 rads까지 조사하여 발생되는 분해가스의 종류 및 그의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해가스로는 및 등이 발생하였으며, 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가스발생량은 폐기물과 고화매질의 종류에 따라 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폐이온교환수지를 함유한 고화체에서 가장 높은 분해가스 발생량을 보였다. 그리고 수소가스는 제염지 폐기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염지의 는 0.12이었다.

The cemented and paraffin wastes form which are incorporated the concentrated wastes, the cemented waste form which is incorporated the spent ion-exchange resins, and the miscellaneous waste(decontamination paper) were irradiated up to rads at rads/hr with Co-60(72,023.9 Ci) as an external irradiation source. As a result, the radiolysis gases such as , were measured in all the wastes. The major gas which was generated in all the wastes was hydrogen(). The volume of the generated gases showed a difference from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s, and more was generated in the cemented waste form incorporated a spent ion-exchange resin than in the other wastes. More hydrogen() gas was generated in the decontamination paper waste than in the other wastes, and the G() value was 0.12.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재료 및 실험방법    가. 방사성폐기물 및 고화체 제조    나. 방사선 조사    다. 분해가스의 분석    라. 분해가스의 발생량   III. 결과 및 논의    가. 방사분해 가스의 종류    나. 방사분해 가스의 발생량    다. G-value 계산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Kyung-Kil Kwak(한국원자력연구소) | 곽경길
  • Young-Gerl Ryue(한국원자력연구소) | 유영걸
  • Ki-Hong Kim(한국원자력연구소) | 김기홍
  • Whan-Gyeong Je(한일원자력(주)) | 재환경
  • Dong-Ho Kim(한국원자력연구소) | 김동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