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멸구ㆍ매미충에 대한 水稻 新品種 密陽 21 및 23 號의 抵抗性 KCI 등재

Resistance of the New Varieties Milyang #21 and #23 to Plant-and Leaf-hopp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8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sistance of the new rice varieties Milyang 21 and 23 at the seedling stage to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mall brown planthopper(Laodelphax striatellus), white-back planthopper(Sogatella furcifera), green rorice leafhopper(Nephotettix cincticeps) and zigzag-striped leafhopper (Recilia dorsalis) The varieties Yushin and T(N)-1 were used as susceptible check and the resistant check varieties were Mudgo to brown planthopper, ASD-7 :o small brown planthopper, Colombo to white-back planthopper, IR2061 (46763) to green rice leafhopper and Vellailanalgayan to zigzag-striped leafhopper. The varieties Milyang 21 and 23 were moderate in plant reaction only to the green rice leafhopper and 23 was moderately resistant in plant rection only to the small brown planthopper. The nymphs of plant-and leaf-hoppers were more prefered Milyang 21 and 23 and susceptible check-varieties were more preferred for feeding than the resistant check-varieties. The green rice leafhopper and aigzag·striped leafhopper much more prefered Milyang 21 and 23 for oviposition, while brown planthopper and small brown planthopper more prefered the resistant cheeks than test varieties and susceptible checks. However, there was no any steady relationship in ovipositional preference between resistant and susceptible to the hoppers. Shorter nymphal-periods and higher rate of adult emergence were observed in the test varieties and the susceptible checks compared with the resistant checks. In conclusion, the varieties Milyang 21 and 23 seemed to be lack of true resistance to the plant-and leaf-hoppers from the viewpoints of antibiosis and feeding preference.

키워드
저자
  • 崔承允
  • 李正云
  • 李炯來
  • 朴重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