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쥐 난소에서 난포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Id3 mRNA Expression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94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동물번식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Reproduction)
초록

DNA 결합 단백질 억제(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또는 분화억제(Inhibitor of differentiation) 인자인 Id는 네 종류(Id1-4)가 있으며, 세포의 증식과 분화, 혈관 형성 및 세포자가사멸 등에 정 또는 부의 조절인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번식생리 분야에서 이들 유전자들의 발현이나 기능에 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쥐 난소에서 난포의 발달에 따른 Id3 mRNA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쥐에게 PMSG 주사 후, 3, 6, 12, 24, 36 및 48시간째에 난소를 회수하여 고정, 탈수 및 파라핀 포매를 실시하였다. In situ hybridization 실험을 위하여 anti-sense와 sense Id3 cRNA 탐침자를 제작한 다음 난소 절편에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난소 절편은 NTB-2 유광제에 노출시킨 후 현상액에 반응시켰다. 모든 처리가 끝난 슬라이드는 H&E 염색을 실시한 다음 현미경하에서 hybridization 감도를 1+에서 4+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난자에서는 Id3 mRNA 감도가 원시와 제1차 난포에서 ≥2+으로 확인되었으나, 제2차, 우성 및 배란전 난포에서는 1+ 이하로 관찰되었다. 한편, 과립막세포에서는 우성과 배란 전 난포에서 Id3 mRNA가 3+ 또는 4+로 강하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Id3 mRNA는 난포의 발단 단계 또는 난포세포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것으로 보아 난포의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or inhibitor of differentiation(Id) is largely considered as positive and/or negative regulators of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giogenesis, and apoptosis. The four Id genes(Id1, Id2, Id3, and Id4) were known in mammal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these genes in reproductive physiology. Among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of Id3 mRNA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After PMSG administration, the ovaries were obtained at 3, 6, 12, 24, 36, and 48 hrs, fixed, dehydrated, and paraffin embedded. For in situ hybridization, anti-sense and sense Id3 cRNA probe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e ovarian section. The ovarian sections were coated with NTB-2 emulsion. After that, the slides were developed and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The hybridization signal was estimated on a scale of 1+ to 4+. In oocyte, the intensity of Id3 mRNA in primordial and primary follicles was scored at ≥2+, but the intensity was less than 1+ in secondary,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In granulosa cells, the Id3 mRNA was strongly expressed(3+ or 4+) in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Taken together, Id3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at follicle stages and follicular tissue and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follicle development.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재료 및 방법    파라핀 블록 제작    Plasmid 제작과 Riboprobes 합성    In Situ Hybridization    Hybridization 감도 분석   결과   고찰   인용문헌
저자
  • 황성수(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Seongsoo Hwang 교신저자
  • 고응규(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Yeoung-Gyu Ko
  • 임현주(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Hyunjoo Lim
  • 성환후(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응용생명공학과) | Hwan-Hoo Seong
  • 윤종택(한경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Jong-Taek Yoon
  • 민관식(한경대학교 생물환경ㆍ정보통신전문대학원) | Kwan-Sik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