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박과 작물에 발생하는 Watermelon Mosaic Virus에 관한 연구 KCI 등재

Incidence of Watermelon Mosaic Virus in Cucurbi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0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모자익병징을 나타내는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의 박과작물에서 Watermelon Mosaic Virus(WMV)를 분리동정하였다. 이병주로 부터 분리된 WMV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에 의해 쉽게 충매전염되었고 종자전염은 되지 않았다. 지표식물검정결과 명아주에서는 접종엽에 대형의 국부병반이, 호박, 박, 오이, 참외, 수박에서는 접종상엽에서 모자익병반이 나타났고 담배(Nicotiana tabacum, Bright yellow), 담배 (Nicotanan glutinosa), 동부, 페추니아, 독말풀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WMV isolate의 물리적 성질은 내열성 , 내희석성 배, 내보존성 일간이었다. WMV isolate의 항혈청반응은 미량침강법에서 양성으로 나타났고 바이러스립자의 형태는 전자현미경검경결과 대부분이 750nm의 사상입자이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박과 작물에서 분리한 바이러스가 WMV 임이 확인되었다.

Cucurbits including pumpkin (Cucurbita pepo), gourd (Lagenariaa siceraria), cucumber (Cucumis sativus), melon(Cucumis melo) and watermelon(Cucurbita anguria) were diseased with mosaic symptoms. The causal virus was identified as watermelon mosaic virus(WMV). The WMV was transmitted by Myzus persicae Sulzer, and no seed borne virus was found. The virus caused large local lesions on the inoculated leaves of the Chenopodium amaranticolor and mosaic symptom on the upper leaves of Cucumis melo, Cucumis sativus, Lagenaria siceraria, Cucurbita anguria and Cucurbita pepo. There were no symptoms on the inoculated leaves of the Nicotiana tabacum var. Bright yellow, Nicotiana glutinosa, Vigna unguiculata. Petunia hybrida and Datura stramonium. Thermal inactivation point was , dilution end point was and longevity in vitro of the virus was days. The virus showed positive reaction against watermelon mosaic virus antiserum in microprecipitin tests. The virus particles were flexuous rods in size of 750 nm.

키워드
저자
  • 이순형
  • 이기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