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 시들음病에 관한 研究 KCI 등재

Studies on the Wilt of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fragariae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1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딸기시들음병의 발생분포, 병원균의 몇가지 성질, 방제효과 및 품종 저항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병은 수년 전 경남의 삼낭진, 김해 지역에서 발견된 이후 발생지역이 급속히 확대되어 현재 우리나라 딸기재배 전 지역에 발생되고 있으며 그 피해도 격심하다. 2. 본 분리균은 V-8 Agar상에서 대형, 소형분생포자와 후막포자가 형성되었고 단포의 소형분생포자는 무격막의 분생자병의 선단에 의두상으로 형성되어 F. oxysorum에 속하였다. 3. 본 균의 대형분생포자 형성은 균주와 재배종류에 따라 차이가 심하였으나 균주 모두 V-8 Agar에서 풍부히 형성되었고 PDA, PSA와 Malt extract Agar 에서는 극히 불량하였다. 4. F. oxysporum의 분화형이 다른 f. sp. curumerinum, f. sp. melonsis, f. sp lycopersici, f sp. lini, f. sp. fragariae 및 본 균을 공시하여 오이, 토마토, 참외 , 수박, 수세미 , 양배추, 말기에 cross inoculation 시험결과 각 분화형은 각자의 기주에만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본 균은 딸기 만을 침해하였으며 본 균과 f.sp. fragariae의 2균주와의 형태, 기생성 및 병징 등에서 거의 일치되었으므로 본 균의 분화형은 Fusarium oxysporum Schl. f sp. fragariae Winks & Williams로 동정되었다. 5. 본 균의 균계생육과 포자형성 저지효과에 있어서 Benomyl과 Homai가 가장 우수하였으나 Homai에 의한 포자형성 저지효과가 Benomyl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6. 접종에 의한 품종 저항성 검정결과, 구류미 38, Himiko, Senga gigana 및 Daehak 1은 저항성이었고, 보교조생, Instiate Z-4, Juspa, Puget beauty 및 Marshall 은 감수성이었다.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wilt of strawberry caused by Fusarium in Korea, the characters of the causal fnngus and its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ilt of strawberry has been found in Gimhae and Samrangjin, Gyeongnam province a few years ago. This disease has been spreading year after year, and observed on farms in most of the strawberry-growing areas in Korea. 2. The fungus was isolated frequently from the crowns and petioles of diseased straw berry plants, and the fungus belonging to Fusariun oxysporum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croconidia, microconidia, chlamydospore and conidiophore on V-8 Agar. 3. The macroconidia formation of the fungus varied remarkably with the Isolates and kinds of medium tested. However. all isolates abundantly produced macroconidia on V-8 Agar. 4. The cross-inoculation tests with several forma specialis of F. oxysporum to cucumber, tomato, watermelon, luffa, cabbage, melon and strawberry were carried out. The isolates from strawberry viz. Kodama's F. oxysporum f. sp. fragariae and S-1 of the authors were pathogenic to only strawberry. The fungus was also similar in morphology and symptoms to Kodama's and Winks' isolate of F. oxysporum f. sp. fragariae. Therefore, the fungus is identified as Fusarium oxysporum Schl. f. sp. fragariae Winks & Williams. 5. The most effective fungicides were Benomyl and Homai for inhibiting sporulation and mycelial growth of the fungus. 6 The cultivar Kurumae 35, Himiko, Senga gigana and Daehak I were resistant, whereas Hokowase, Instiate Z4, Juspa, Puget beauty and Marshall were susceptible to the fungus with artificial inoculation.

키워드
저자
  • 文炳周
  • 曺鍾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