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산 곤충병원성 선충(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S. monticolum Jiri)을 이용한 잔디밤나방(Spodotera depravata)의 환경 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와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잔디의 예고가 곤충병원성 선충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야외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의 처리가 잔디밭에 분포하고 있는 개미와 집게벌레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잔디밤나방 3령충은 곤충병원성 선충에 대하여 처리 5일째 53.3%에서 66.7%의 보정사충율을 나타내었다. S. carpocapsae GSN1과 S. monticolum Jiri의 잔디밤나방 3령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 (LC)는 6.9와 3.9마리였다.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은 잔디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어 2령충에서 73.3%로 가장 높았으며, 3령충부터 감소하였다. 예고는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에 영향을 미쳤다. 들잔디의 예고가 14mm인 pot에서 4령충의 치사율은 S. carpocapsae GSN1 처리가 40.0%였고, S. monticolum Jiri처리는 33.3%였으며 fenitrothion은 83.3%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나 45mm구에서는 모두 낮았다. 곰개미(Formica japonica) 분포지에서 선충처리구의 보정사충율은 fenitrothion 처리구에 비하여 낮았으나, 개미의 감소율은 fenitrothion구에서 56.7%로 높았고, S. carpocapsae GSN1 처리구와 S. monticolum Jiri 처리구에서는 각각 0%, 6.7%로 낮았다. 잔디의 예고는 S. carpocapsae GSN1과 fenitrothion의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S. carpocapsae GSN1은 3-4cm 예고구에서는 62.2%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였으나, 6-8cm와 12-14cm의 예고구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못뽑기집게벌레(Forficula scudderi)의 밀도도 fenitrothion 처리구에서만 감소를 보였다. 즉, 3-4cm 예고구에서는 100%의 감소율을 보였고, 6-8cm 구에서는 41.7%, 12-14cm 구에서는 16.1%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Environmentally sound control of Japanese lawngrass cutworm, Spodoptera depravata with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I ,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and S. monticolum Jiri) was evaluated in the laboratory and field. In addition, effect of turf height on the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density of ant (Formica japonica) and spine-tailed earwigs (Forficula scudderi) were investigated in the field. The corrected mortality of 3rd instar of S. depravata larvae was 53.3% to 66.7% 5 days later after treatmen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value of S. carpocapsae GSN1 and S. monticolum Jiri against 3rd instar of S. depravata was 6.9 and 3.9, respectively. Pathogenicity of S. carpocapsae GSN1 was different depending on larval stages, i.e., mortality of 2nd instar was the highest representing 73.3% but decreased from 3rd instar. Turf height affected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Mortality of 4th instar of S. depravata was 40.0% by S. carpocapsae GSN1 and 33.3% by S. monticolum Jiri, and 83.3% by fenitrothion, respectively, in the turf height of 14mm, but those were lower in 45mm. The corrected mortality of S. depravata larvae was lower at the entomopathgenic nematode plots than fenitrothion plot in the distribution field of Formica japonica. However, reduction rate of F japonica was higher in fenitrothion by 56.7% compared with 0% in S. carpocapsae GSN1 and 6.7% in S. monticolum Jiri. Turf height influenced control of S. depravate in S. carpocapsae GSN1 and fenitrothion. Control value of S. carpocapsae GSN1 was 62.2% in the turf height of 3-4cm, but not effective at all in 6-8cm and 12-14cm.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fenitrothion plots. Forficula Scudderi was also reduced only in fenitrothion plots. Reduction rate was 100% in 3-4cm, 41.7% in 6-8cm, and 16.7% in 12-14cm,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