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두 지명 사용의 본질과 실행가능성: 동해 수역 병기 추진을 위한 고려사항 KCI 등재

The Essence and Practicality of Dual Naming: Considerations Toward the East Sea/Sea of Japan Dual Nam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172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8.18.3.03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 논문은 동해 수역의 표기를 중심으로 하여, 두 개 지명 사용의 본질, 유형, 필요성, 방법, 그리고 실행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두 개 지명 사용(또는 병기)의 정의와 그 관행이 발생하는 배경을 검토한 후, 두 지명 사용이 어떤 동기에 의해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였다. 어떤 지명을 폐기하고 다른 지명을 쓰자고 주장하는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서 지명에 담긴 여러 다른 정체성을 존중한다는 점, 두 이름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편적인 인류의 가치를 실현한다는 점, 두 이름이 사용되는 사례가 이미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한다는 점, 다언어 지역에서 하나의 규칙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 주요 동기인 것으로 확인된다. 두 이름 사용의 방법에 대해서는 각 이름에 주어지는 상대적 위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방법이 지명 사용의 당사자에게 어느 정도 수용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두 이름 사용의 장애물에 대한 대응, 두 이름 사용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그리고 두 이름을 사용함으로써 각 당사국과 국제사회가 받게 될 혜택 등에 대해서는 향후 심도 깊은 토론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the topic of dual naming; its nature, typology, motivations, methods, and most importantly, ways to pursue it, with specific focus on the naming of the sea between Korea and Japan. Beginning by a review of the definition of dual naming and circumstances under which dual names appear, it takes note of motivations of dual naming, including recognizing different identities without taking the risk of claiming one at the expense of the other, achieving universal human values by keeping balance between two names, reflecting the reality that both names are already used, and satisfying the rule in multi-lingual areas. Various methods of dual naming are li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ve status given to each name. It is pointed out that what matters will be how acceptable each of the methods is to each party concerned. Three items are suggested to discuss further: responses to barriers to dual naming, institutional framework to activate dual naming, and benefits that each party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will receive by achieving dual naming.

목차
요약
 Abstract
 I. Introduction: The Current Status
 II. Dual Names and Dual Namingin General
  1. Defining Dual Names and Dual Naming
  2. A Typology of Dual Naming
  3. Motivation for Dual Naming
 III. Activating Dual Naming for theCase of East Sea and Sea of Japan
  1. Premises
  2. Methods of Dual Naming
 IV. Discussion: Feasibility andPracticality of Dual Naming
 References
저자
  • 주성재(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Sungjae Choo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