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메모리얼 공간기능에 대한 고찰 - 주디스 허만(JUDITH HERMAN)의 트라우마 치유회복단계 적용 - KCI 등재

The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morial Space for Social Trauma Recove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03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8.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를 남기게 되었던 사건·사고에 대한 국내외 추모시설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감과 치유의 공간으로서 기능강화 및 기능회복을 도모하기 위해 주디스 허먼의 트라우마 치유회복단계를 적용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전문서적, 보고서, 논문이나 인터넷 자료, 직접 답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사례의 경우 대부분 치유회복의 1단계 안정에 대한 기능은 보유하고 있으나, 기억과 애도의 기능은 매우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희생자의 가족과 지인에게만 제공되는 추모의 공간기능이 일부 이루어질 뿐, 일반인들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기능은 거의 없다. 국외사례의 경우 1단계 안전과 2단계 기억과 희생을 추모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기능을 최대화하고 있으며, 3단계 평화와 사랑의 중요성 등을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메모리얼 공간적 기능향상 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1단계 안전에 대한 명확한 의미전달을 위해 장소성, 연결성이 매우 중요하다. 2단계 기억과 애도의 기능강화를 위해서는 방문객들이 아픔을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의 기회를 오감을 적극 활용하여 제공해야 한다. 3단계 연결과 공통성의 회복을 위해서는 1, 2단계와의 선순환적 공간기능이 필수적이다. 방문객들의 공간내 체재시간 확대를 유도를 통해 메모리얼의 의미, 공간의 명확한 목적과 기능을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morial space with the spatial utilization of memory,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memorial facilities for events and accidents that left social trauma behind. As a research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rofessional books, reports, papers or Internet materials, and direct research. Thus, the function was examined by applying Judith Herman's trauma recovery stage. In Korea, most of them have functions for stability in the first stage, but memory and mourning are considered very weak. The space function of remembrance, mostly provided only to the victims' families and acquaintances, is only partly done, with few functions of memory and mourning for ordinary people. In overseas cases, it maximizes the safety of the first stage and the sufficient spatial function to remember the memory and sacrifice of the second stage,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mpathize with the importance of peace and love in the last st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patial functionalities of domestic memory should be clearly conveyed for the first stage of safety. The virtuous spatial fun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tages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connection of the third stage and the restoration of commonality. The space of remembrance must provide an opportunity for society to participate and sympathize with each other in historical memory.

목차
1. 서론
2. 사회적 트라우마와 치유회복단계의고찰
3. 사례연구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별(유한대학교 테크노산업디자인학과) | Kim By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