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 인식 연구

A Study on Play Recognition according to Preschooler children Parents’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1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 and School)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라 놀이 인식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부모 600명을 대상으로 놀이 인식 질문지, 양육 효능감 척도, 양육행동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최종 회수된 설문지 490부로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놀이 즐거움과 중요도 는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결론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에 따른 놀이인식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부모의 놀이 인식을 위한 교육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play by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selected mothers of preschooler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a play recognition questionnaire, a parenting efficacy scale, a Korean-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The answer sheets from 490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23.0.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rried out.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arents' children and play related job.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lay attitude. Third, play pleasure and importance were related to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play difficulty.
Conclusion : This provides empirical data on the recognition of play according to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including education for parents of preschooler children' play recogni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부모의 아동 및 놀이 관련 직업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2. 놀이 시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3. 놀이 즐거움과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간의상관관계
    4. 놀이 중요도와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간의상관관계
    5. 자녀와의 놀이 어려움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선희(이오아동발달연구소) | Lee Sun-Hee (Enabling Occupation Laboratory)
  • 이은영(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Lee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박다솔(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Park Da-So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박혜연(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Hae Ye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