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 KCI 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72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비교 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 대상 자국어 및 기초 학력 교육 측면에서 정책 수행의 근거 법령 측면에서 한국은 기회 균등보다 사회 적응 관련 조항의 비중이 큰 반면, 미국은 교육 기회 균등 보장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측면에서 한국은 정부가 직접 개발에 관여하는 반면 미국은 프로그램 운영 지원 방안과 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침 개발에 주로 관여한다. 둘째, 다문화 학생 대상 이중 언어 교육 측면에서 한국은 글로벌 역량 개발을 목표로 하는 반면 미국은 교육의 기회 균등 보장을 강조하며, 양국 모두 모국어 및 모국 문화에 대한 정체성에 대한 고려는 미비하다. 셋째, 모든 학생 대상 정책 목표 및 내용 측면에서 한국은 근거 법령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에 대한 편견 및 차별 예방 차원에서 일반 시민들의 다문화 이해 교육을 강조한 반면, 미국은 주 정부 교육과정 차원에서 문화 다양성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 및 제 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차원에서 다문화 교육 관련 평가 도구 및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지속적으로 선도하고 학부모 참여 및 교사 전문성 신장 방안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운영 방식을 참고하여 정부 차원의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운영 평가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원주의적・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을 보다 적극으로 포섭하여 양국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진 다문화 학생의 정체성 향유를 인권의 측면에서 전향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uth Kore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main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official language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basic academic education, South Korea has a greater share of provisions related to social adaptation than it does equal opportunities, while the U.S. emphasizes equaliz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in terms of related education programs, South Korea is involved in the government's direct development while the U.S. is mainly involved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supporting program operations and assessing effectiveness. Second, in terms of dual-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tudents, South Korea aims to develop global capabilities, while the U.S. emphasizes ensuring equal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there is little consideration regarding identity in both native language and culture. Third, in terms of policy goals and content for all students, South Korea has emphasize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ordinary citizens at the legal level in order to preven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the U.S. offer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t the level of the state government's curriculum.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in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lead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government level, and to strengthen measures for parental involvement and teacher professionalism. Second, it is necessary to draw up government-level effective program operation assessment guidelines by referring to the way the U.S. operate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take a forward-looking approach to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neglected in both countries in terms of human rights, by actively incorporating a pluralistic and critical multiculturalist perspective.

목차
<< 요 약 >>
Ⅰ. 서론
Ⅱ. 다문화 교육 정책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1.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정책
    2. 다문화 교육과 다문화주의
Ⅲ.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이념 및 내용에 대한 비교분석
    1. 분석 준거 및 대상
    2.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현황 및 분석
    3. 한국과 미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비교 분석 및 종합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은지용(춘천교육대학교) | Eun Ji-Yong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