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2010-2020) 분석연구: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유형에 근거하여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007
  • DOIhttps://doi.org/10.14328/MES.2020.6.30.11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방향 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기본계 획을 수집․분석하였으며, 관점 및 방향성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2010, 2014, 2018, 2020 년도를 중심으로 정책을 내용 분석하였다. 그리고, Jenks, Lee, & Kanpol(2001)이 제시한 보수 적, 개방적,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따라 이를 해석하여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2010 년부터 지금까지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보수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다문화교육이 꾸준히 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및 문화 적응 교육이 이 관점에 해당하는 다문화교육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좀 더 체계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10년 부터 지금까지 점점 확대되어 운영되고 있는 다문화교육 정책은 개방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이다. 2010년도에는 일반학생 대상으로 다문화 축제 및 문화 체험 교육을 통해 문화 다양성을 이해하고 감수성 함양을 강조하였으며, 2019년도에는 ‘상호문화이해’ 연구학교를 지정․운영함으로써 다문화교육으로 상호문화이해 교육을 보급 확산시키는 정책을 시행하 였다.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의 교육은 기본계획에서 나타난 것은 2018년도부터이다. 기본 계획에서 ‘평등한 출발선, 교육기회 보장’ 등의 용어를 통해서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영되었으며,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 및 법률 개정 등 구조 변화를 통한 다문화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경기도교육청의 다문화 정책은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 점으로 이동하고 있으나, 아직은 시작 단계이다. 향후 과제는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에 부 합되는 다문화 정책 발굴과 학교 현장에 이에 대한 명확한 프로그램 제시 및 공유, 확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direction by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lans of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we gathered multicultural education plan documents of 10 years from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n we analyze the 2010, 2014, 2018, 2020 year plan document to see the change of direc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Jenks, Lee, & Kanpol (2001) suggest concepts of conservative and liberal, critical multiculturalism. We use this concepts to interpret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policy was maintained from 2010 to 2020, but it has developed into the systematic support system. The liberal multiculturalism policy has expanded.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multiculturalism policies have been effective. The critical multiculturalism policy was presented as we recognized the terms ‘equality, providing opportunity’ in the 2018 plan. In addition, the multicultural global school is a new model school for all student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ries to revise the law to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we can find an effort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o pursu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desirable direction.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의 의의
    2.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1. 경기도의 다문화교육 정책분석
    2. Jenks, Lee, & Kanpol의 다문화주의에 따른 경기도의 다문화교육 정책
Ⅴ.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참고문헌
저자
  • 박영진(경인교육대학교) | Park Young Ji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장인실(경인교육대학교) | Chang In Sil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