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eleuze의 행동학 관점에서 바라 본 교실공간 속 유아 신체-자리의 의미 탐구 KCI 등재

Exploring the Meaning of Body-Seat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from Deleuze's Ethologie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685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유아기를 비롯하여 인간은 자신의 생에서 무수한 ‘자리’를 경험한다. 그러나 자리가 갖는 의미에 대한 고찰은 공간에 관한 연구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시간대의 한 공간 을 몸으로 점유하고 있는 유동적 성질의 신체-자리에 관심을 갖고, 교실공간 속에서 유아의 신체- 자리가 갖는 내재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유아의 신체-자리가 갖는 의미를 인간의 내재적 변용 능력에 관심을 갖고, 도덕이 아닌 윤리를 한 존재가 어떠한 역량으로 발현해 가는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Deleuze의 행동학 관점을 중심으로 해석해 보았다. 내재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B시의 직장보육시설 내의 만 4~5세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유아면담과 교사면담, 비참여 관찰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신체-자리는 욕망을 발산하는 자리로 유아에게 실체화되었으며 둘째, 자리가 존재를 견고히 하기도 하고 존재가 자리에 자신만의 공간과 자유를 부여하는 등 존재에 접속되는 자리로써 의미를 갖고 있었다. 셋째, 유아의 신체-자리는 긍정적 변이의 역량을 중심으로 물질과 관계가 보내는 기호에 어떻게 감응하는가에 따라 놀이 생성의 자리로 그 속성을 변이하며 관계맺음의 윤리적 되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의 자리는 자신의 신체가 점유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에게 책임을 요구하는 내재적 윤리로 작동하였으며, 자리를 정리하는 행위로 나타났다. 또한 타자의 자 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져, 자리에서의 배려에 관한 사유를 보이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실에서 공간에 대한 논의를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고, 유아가 점유하는 신체-자리를 존재의 긍정적 생기성과 정동에 의한 윤리의 행동학으로 그 가치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body-sea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body-seat with Deleuze's Ethologie perspectiv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interviews with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non-participatory observations for four cla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dy-seat for the children revealed desire as the meaning. Second, the body-seat gave existence to a sense of belonging in the classroom, and the existence gave the place its own space and freedom. Third, the body-seat for the children had positive outcomes and children had power to change it into a place to create play. Fourth, the children's body-seat was operated with its own intrinsic ethics that required responsibility for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discussion about body-seat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in more depth and was focused on the 'seat'. In addition, this study wa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body-seat was examined as it related to Ethologie theory of ethics with life.

목차
요 약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Ⅲ. 유아의 신체-자리가 갖는 의미
    1. 욕망을 발산하는 실체-자리
    2. 자리-존재로의 접속
    3. 놀이와 관계맺음의 윤리를 생성하는 정동의 자리
    4. 책임의 윤리로 이행하는 신체-자리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임부연(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Lim Boo-Yeu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손연주(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 21plus) | Son Yeon-Ju (Pusan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
  • 박유미(풍산 안강 직장어린이집) | Park Yu-Mi (Poongsan Angang Daycare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