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만 2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Mediated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Effect of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on the Parenting Behavior: Working Mothers with Two-Year-Old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19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를 매개로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2010년)중 만 2세 영아 455명의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 어머니이다. 연구방법은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한 자료로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직무만족도와 양육행동의 관계를 살펴보면, 직무만족도는 취업안정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양육행동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의 모든 변인은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양육 스트레스를 부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맞벌이 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의 기초연구로서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에 대한 제도 및 정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working women with two-year-old children on the parenting behavior via parenting stres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455 working mothers who raise two-year-old children in the third materials(2010)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method of research was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ith data by measuring job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Then, we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ree conclusions. First, al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except job stability,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parenting behavior. However,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al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showed malice correlation. Second, all variable factors on parenting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howed malice correlation.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impact on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with parenting stress as a partial medium.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as reference materials for parent education for working mothers and as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s and policies on the compatibility of working-family of working mothers.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양육행동, 양육 스트레스의 상관관계
    2.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연혜민(동명대학교 유아교육과) | Yeon Hye-M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ngmyong University)
  • 모아라(경기도사회서비스원 대외협력관) | Mo A-Ra (Gyeonggi-do Social Service Center.)
  • 이소현(대구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So-Hy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