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계층에 따른 청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 : 부의 학력과 직업·진로교육이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KCI 등재

Social Class and the Labor Market Outcomes of Youth : Focusing on the Effects of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Vocational and Careerrelated Education on Youth’s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7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07년부터 수집한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직업·진로 교육 경험이 성인기 초기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취업 여부 및 임 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0대 초반에서 중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아버지의 높은 학력은 청년 자녀들의 취업 가능성을 낮추는 반면, 20대 후반에 이르게 되면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청년 자녀의 취업률 격차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은 청년 자녀의 임금 수준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청년 자녀의 임금 수준도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산층 이상에 해당하는 청년들의 경우 부모의 비공식적 지지 하에 취업 시기를 미루고 교육 및 훈련을 통해 보다 양질의 일자리를 획득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아버지의 학력과 청년 자녀의 임금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자녀가 30대에 진입한 이후까지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학교유형에 있어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청년들의 경우 일반 고등학교 졸업자들과 비교하여 취업 시기는 빠르지만 낮은 임금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놓인 청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이 보다 나은 양질의 일 자리로 이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대안 모색의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in secondary education affected the employment status and wages of young people in early adulthood, using the Youth Panel (YP 2007)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ince 200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high educational attainment of fathers lowered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for youth during their early to mid-20s.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rates by fathers’ education levels became insignificant when they reached the late 20s. In addition,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ffected the wages of young people. For example, the higher the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the higher the wage levels of young peopl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young people of the middle class or above delayed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invested time in more education and training, relying on parental support. As a result, they later had better jobs than those from lower clas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their children’s wages was still significant even after the children were in their 30s. In addition,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entered the labor market earlier but showed lower wages compared to those who graduated from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who were relatively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and provided clues for finding alternatives to help them transition to quality job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등교육과정의 직업 및 진로 교육과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2.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Ⅲ. 연구방법
    1. 연구 모형
    2. 데이터 및 표본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2. 2단계 모형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1. 연구 결과의 요약
    2. 연구의 함의
    3.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원지영(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Won Ji-young (Div. of Social Welfare, Kangnam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