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제강점기 소설에 나타난 감옥체험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rison Experience in Korean Nove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37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실제로 체험해보기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감옥 체험일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설이나 영화, 드 라마 등을 통해 감옥에 대한 간접 체험을 하게 된다. 더운 여름철 감옥이라는 폐쇄된 공간은 이들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좀 더 넓은 공간, 시원한 물만을 찾는 욕망의 존재로 전락시킨다. 욕망만이 남은 공간에서 민족적이고 이념적 사유는 불가능해지고, 개인적이고 육체적인 경험만 남게 된다. 한편 수감자 중 병에 걸린 환자들을 별도로 수감하는 병감을 배경으로 하는 「무명」의 재소자들은 시기, 질투, 탐욕 등 욕망만 남은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태형」, 「물」, 「무명」의 작가인 김동인, 김남천, 이광수 3 인은 모두 일제강점기에 수감 생활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글은 일제강점기 감옥을 배경으로 수감 자들을 형상화한 「태형」, 「물」, 「무명」을 대상으로 과밀 수용과 기본권의 침해, 일본의 통제와 작품의 인물들이 순응하는 양상, 이기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집단적 연대를 이루는 과정 등을 비교 연구하였다.

The experience of imprisonment would be one of the rare experiences that anyone could think of having. Many people experience prison indirectly through novels, movies, and dramas. The enclosed prison environments in hot summer months paralyze inmates' reason. And the prison deteriorates them into beings left with a desire for bigger space and cool water. In the prison, where only desires remain, prisoners cannot have ethnic and ideological reasons. And inmates have only personal and physical experiences. In the meantime, patients who are ill are confined to the hospital. Sick inmates are portrayed as human beings left only with envy, jealousy, and greed. Kim Dong-in, who wrote Taehyung (Flogging), Kim Nam-cheon, who wrote Mul (Water), and Lee Kwang-soo, who wrote Mumyeong (No Brightness), all had one thing in common—they were imprison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article studied these novels, which embody prisoner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ris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prisons were overpopulated, the inmates’ basic rights there were violated and Japan's correctional authorities used a barbaric control method. The characters in these works showed a selfish attitude in prison. However, some prisoners overcame selfishness and succeeded in forming a collective solidar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과밀 수용과 기본권의 침해
Ⅲ. 이중의 감옥과 통제 및 순응의 방식
    1. 이중 언어와 이중의 감옥
    2. 신체적 고통을 통한 정신의 지배
    3. 현실의 왜곡된 인식과 식민통치의 내면화
    4. 개인에게 보장된 사법적 권리의 경시
Ⅳ. 이기적 욕망과 연대에의 희망
    1. 사회현실로부터의 격리와 이기적 탐욕의 공간
    2. 욕망의 절제와 연대의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양윤모(극동대학교 교양대학) | Yang Yoon-mo (College of Liberal Arts, Far Eas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