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문항 개발 - 예비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a Sensory Processing Evaluation Tool for the Children in School -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 도구의 문항을 개발하는 예비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과정은 예비 문항 구성과 본 문항 구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예비 문항 구성은 문헌고찰을 통한 문항 수집 후 감각통합 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3명과 학교 작업치료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 4명에게 문항 적절성 조사 및 신규 문항 수집을 하였다. 본 문항 구성은 초등교사 24명에게 내용 타당 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이용한 문항 적절성 조사, 작업치료사 19명에게 내용 타당도 지수(CVI)를 이용한 문항 적절성 조사 및 감각의 종류, 감각처리장애의 분류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179문항이 수집되었고, 이후 예비 문항 구성 단계에서 93개 문항 삭제, 23개 문 항 추가되어 105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본 문항 구성 단계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 값이 단계에 따라 70-80%가 만족될 때 선정하여 19개 문항 삭제, 1개 문항 추가되어 87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최종적으 로 학교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감각처리 문항으로 분류하면, 일반적 학습 활동은 45개 문항, 예체능 활동 은 17개 문항, 식사 시간 및 쉬는 시간 활동은 25개 문항으로 총 8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학교의 활동 영역을 바탕으로 감각처리능력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평가도구의 임상적, 연구적 사용을 위해서는 추후 본 평가도구의 다양 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school children based on their school activities.
Methods: The following steps we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tool: 1) a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questions related to sensory processing skills in school, 2) interviews with experts, i.e.,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person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4 persons), to develop preliminary questions, and 3) an examination of the suitability of the questions by exper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24 person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19 persons)).
Resul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179 items were collected, and in the preliminary item composition stage, 93 items were deleted and 23 items were added to form 105 items. In the composition stage of the main items, 87 items were composed by deleting 19 items and adding 1 item when the content validity index value was satisfied at a rate of 70-80% depending on the st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nsory evaluation tool, a total of 87 items were developed: 45 items related to general learning activity; 17 related to art, music, and physical activity; and 25 related to meal and break-time activitie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 tool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school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ir school activiti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gainfully employed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to evaluate behavior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sensory processing in school childr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및 과정
    2. 예비 문항 구성 단계
    3. 본 문항 구성 단계
Ⅲ. 연구 결과
    1. 예비 문항 구성 결과
    2. 본 문항 구성 결과
    3. 최종 학교용 감각처리 평가도구 본 문항구성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조선영(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o, S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Far-East University)
  • 유은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Yoo,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박지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김진경(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Jin-Ky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Hanseo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