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4차 산업혁명이 주목한 Z세대의 스포츠 소비 스타일 탐색: 데이터마이닝 기반 의사결정 나무 분석 적용 KCI 등재

Exploring Sport Consumption Style of Generation Z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aid attention to: Applying Decision Tree Analysis based on Data Mi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 기반 의사결정 나무 분석을 적용해 Z세대 스포츠 소비 스타일을 탐색 하여 Z세대가 주도할 스포츠 소비 시장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따라서 Z세대 중 만 19세 이상 남성 및 여성을 표본으로 선정해 본 조사를 실시했으며, 총 42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했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재검사 신 뢰도 및 신뢰도 분석, 의사결정 나무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 효율성 지수가 높고, 심미적 소비 지수가 낮을 경우 여성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96.8%로 나타났다. 반면에 합리 효율성과 가격 지향 지수가 낮을 경우 남성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100%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지향, 가격 지향, 합리 효율성 지수가 높을 경우 수도권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97.3%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결과와는 상반적으로 브랜드 지향, 기념 의례, 지위 상징 지수가 낮을 경우 이외 지역 집단으로 분 류될 확률이 82.1%로 나타났다. 셋째, 지위 상징, 유행 지향 지수가 높으며, 기능성 지수가 낮을 경우 일상 생활 및 패션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77.6%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지위 상징 지수가 낮고, 소속감 유지, 소비 향유 지수가 높을 경우 운동 및 경기 집단으로 분류될 확률이 81.0%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sports consumption market that Generation Z will lead by applying data mining based decision tree analysis to explore Generation Z sports consumption style. Therefor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males and females aged 19 or older as a sample among Generation Z, and data of 429 peopl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ver.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rational efficiency index is high and the aesthetic consumption index is low,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a group of female was 96.8%. 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nal efficiency and perception of price index were low,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a male group was 100%. Second, if the brand orientation, perception of price, and rational efficiency index were high,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a capital area group was 97.3%. Contrary to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as a other area group was 82.1% when the brand orientation, commemoration rites, and status symbol index were low. Third, the status symbol and trend oriented index were high, and if the functionality index was low,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daily life and fashion groups was 77.6%. On the contrary, if the status symbol index is low, the retention of membership and enjoy consumption index is high,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xercise and competition groups was 81.0%.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2.2. 조사도구
    2.3. 조사도구의 내용 및 안면 타당도와재검사 신뢰도
    2.4. 조사도구의 구성 타당도 및 신뢰도
3. 결과 및 논의
    3.1. 성별에 따른 Z세대 스포츠 소비 스타일탐색
    3.2. 현재 거주 지역에 따른 Z세대 스포츠소비 스타일 탐색
    3.3. 스포츠 상품 주요 소비 목적에 따른 Z세대스포츠 소비 스타일 탐색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신진호(고려대학교 국제스포츠학부) | Jin-Ho Shin (School of Global Sport Studies, Instructor, Korea University)
  • 임영삼(중원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 Young-Sam Lim (Department of Sport Industry, Associate Professor, Jungwon University)
  • 김지선(중원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 Ji-Sun Kim (Department of Sport Industry, Associate Professor,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