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9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논문은 베이붐세대의 본격적인 노령인구에 진입함으로써 노인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해결방안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과 증대에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이를 민⋅관이 협력적인 구조를 통해 정책의 수반과 정부에 대한 호혜적 신뢰로 상호 상생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노인의 사회적, 심리적, 정서적, 신체적인 노인문제가 개인과 사회의 과제로 건강하고 행복한 노인의 삶에 대한 다양한 지원체계가 지속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사회적 자본은 실체적인 측면보다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기회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노년기의 긍정적인 삶에 대한 욕구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사회적 자본은 노인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신뢰, 참여, 규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이는 성공적 노화에 이를 수 있도록 하며 노인의 일자리 및 사회활동, 문화활동, 여가활동, 자원봉사활동 등을 통해 동기 부여를 제공하는데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영향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적 자본은 고령사회에 사회통합과 심리⋅사회적, 신체적 문제와 빈곤을 예방 하고 노후의 만족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사회적 기회를 충족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야 한다. 셋째, 사회적지지 프로그램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모색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xpanding and increasing social capital as a personal social solution for social burden of supporting the elderly as the baby boom generation enters the aging population, and will have to develop into a structure of coexistence based on policies and reciprocal trust in the government through mutually compatible structure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Therefore, social, psychological,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of the elderly became a social task and various support systems for healthy and happy lives of the elderly became necessary. Social capital is a variety of social opportunity resources that can be acquired through the network and social engagement that each individual has in social relationships rather than the substantial aspect. The desire for positive life in old age is a social paradigm that goes beyond personal dimensions. Social capital makes the elderly to make positive effects on trust, participation, and regulation in social relationship that allow the elderly to reach successful aging, a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social capital is an important influence in providing jobs for the elderly and motivation through social, cultural,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is an important factor for meeting social opportunities as social integration, for preventing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problems and poverty, and to lead a satisfying life in their old ag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1. 한국사회의 노인
Ⅱ. 선행연구의 고찰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3. 노인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성
    4. 한국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운영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주용(청운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 Lee Ju-yong (Chung-woon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