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설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표현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놀이활동 프로그램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lay Activity Programs to Improve Self-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Fac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49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본 연구는 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 성인에게 놀이활동을 실시하여, 지역사회와의 통합과 사회화 에 필요한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장애인거주 시설에서 대학진학을 하지 않고 직업도 갖고 있지 않은 20세 이상의 지적장애인 7명을 대상으로 놀이활동 프로그램을 주 1회 120분씩 총 2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이 억제된 9명의 참여자에게서 눈 맞춤과 의사소통의 횟수가 증가되었고, 다양한 감정의 표현이 나타났으며, 언어적 표현이 부족한 참여자들은 몸동작으로 의사를 표현하였다. 참여자들이 서로에게 도움 을 주고받는 과정에서도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과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놀이활동 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의사가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성취감을 가졌고, 다른 사람이 어눌한 자신의 언어를 알아듣지 못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지속적인 도전을 통해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또한 자기표현과 의사소통이 반복되면서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경험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play activities were performed among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o determine how they affect self-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necessary for their integration and socialization in local communities. A total of 20 play activity programs, 120 minutes per week, were conducted for 9 intellectually disabled individuals. They were 20 years old or older, did not have university education, were unemployed, and were living at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is are as follows. As for the 9 participants whose self-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had been suppressed, their eye contact and communication increased, various emotions were expressed, and the participants who had lacked verbal expressions expressed their intentions with body movements. In the process of giving and receiving help to each other,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were actively carried out. The participants regai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through the experience of play activities, and self-expression and communication were learned through repeated experiences.

목차
요 약
I. 서론
Ⅱ. 연구방법
    1. 질적연구방법
    2. 연구자의 준비
    3. 연구 참여자
    4. 참여관찰
    5. 심층면담
    6. 놀이활동 프로그램 내용
Ⅲ. 연구 결과
    1. 회기별 놀이활동 분석
    2. 생활재활교사와의 면담
    3. 분석 결과 요약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세현(서울시립대학교) | Kim Se-hyeon (Dept. of Social Welfare, University of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