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마음챙김 상태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the TSD Mindful Self Coaching Education Program on the Mindfulness State of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5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TSD(Think:생각, Saying:말, Doing:행동)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이 성인의 마음챙김 상태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대상자는 제주지역 성인 28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본연구의 교육프로그램을 2019년 3월 20일부터 6월 5일까지 주 1회 5시간씩 총 12회 진행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은 마음챙김 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에 의해 분석하였고, 사전ㆍ사후 간의 차이를 paired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마음상태에 관한 총 24개 문항 중 19개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영역 중 긍정적 정서,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마음챙김 상태의 5개 하위 영역 중 주의집중을 제외한 4개의 하위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함께 이를 기초로 앞으로 교육대상자에 따른 보편화와 개별화를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SD (Thinking, Saying, Doing) Mindful Self Coaching Education Program on the mindfulness state of adults. 28 adults in Jeju, South Korea were the sample of this study. The adults were assigned into 13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12 educational session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five hours from March 20th to June 5th, 2019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mindfulness state was measured by 24 ques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two groups was tested by paired t-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19 out of 24 question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ve emotions, attention, and self-control among the five sub-categories of the mindfulness state. Thir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our sub-categories except for attention concentrations among the five sub-categories of the mindfulness stat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meaningful effectiveness of the TSD Mindful Coaching Program applying both coaching and mindfulness in an educational program. Also, future studies to ensure and enhance the effects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마음챙김 코칭 교육프로그램
    2.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의 구성과 방법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설계
    3. TSD Mindful Self Coaching 교육프로그램 실시 및 방법
    4. 측정도구
    5.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 실험집단의 마음챙김 상태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결과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고은주(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 Ko Eun Joo (Department of Human Ecology & Welfare,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혜연(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 Kim Hye Yeon (Department of Human Ecology & Welfare, Jeju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