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비인격적 감독에 있어 상사에 대한 부하의 연민과 용서 KCI 등재

Eye for an Eye? Subordinates’ Sympathy and Forgiveness for Abusive Supervis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953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21.28.1.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귀인이론에 근거하여 비인격적 감독을 상사 탓으로 돌리는 부하의 경우 상사에 대한 분노와 공격성이 강화될 것이고, 자신의 탓으로 돌리는 부하는 비인격적 대우를 당함에도 불구하고 상사에 대한 연민의 감정과 용서의 행동에 긍정적일 것임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비인격적 감독이라는 자극에 반응하는 부하직원의 감정과 행동을 귀인이론의 핵심인 사건(비인격적 감독)의 원인에 대한 파악과 연관 지어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하가 자신에게 가해진 비인격적 대우의 원인을 어디로 돌리는 지에 관한 귀인의 대상이 어떻게 부하의 다양한 감정과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관한 조절된 매개 연구모형을 테스트하였다. 32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 비인격적 감독이 상사에 대한 연민을 통해 상사에 대한 용서와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자기귀 인이 상사에 대한 연민을 통해 상사에 대한 용서로 이어지는 간접 영향을 조절함을 발견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비인격적 감독으로부터 기인하는 부하의 다양한 감정과 행동의 관계를 밝히며, 특히 부하의 상사에 대한 연민과 용서라는 새로운 개념을 검증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상의 결과와 시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비인격적 감독의 피해자중 왜 일부는 침묵하고 일부는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이유와 메커니즘을 보여줌으로써 비인격적 감독 연구 분야에 기여한다.

Based on the atturibu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subordinates who attribute abusive supervision to supervisors will strengthen their anger toward supervisor and supervisor-directed aggression, but those who attribute it to themselves will be positive in their sympathy and forgiveness for supervisor.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emotions and behaviors of subordinates who respond to the stimulus of abusive supervision in re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ause of events (abusive supervision), which is the core of attribution theory. Thus, we tested a moderated mediation model predicting various feelings and reactions given the attribution targets of abused subordinates. Using the survey responses of 329 participants, this study found that perception of abusive supervi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forgiveness for supervisor through its association with sympathy for supervisor. We also found that self-directed attribu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s for forgiveness for supervisor through the sympathy for supervisor. Our results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motions and behaviors of subordinates resulting from abusive supervision, and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especially in testing the novel idea of subordinates’ sympathy and forgiveness for supervisors. Based on our results and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abusive supervision research by showing the reason and mechanism for why some recipients of abuse are silent but others no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1. 비인격적 감독과 감정의 매개역할
    2. 귀인(상사 탓 또는 자책)의 조절역할
    3. 조절된 매개모형
Ⅲ.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타당도 분석
    2. 기초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3. 가설검증
Ⅴ. 논의 및 결언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
    3.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
    4.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5. 결언
참 고 문 헌
저자
  • 이환우(경북대학교 경영학부) | Lee Hwan 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