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금강 상류 구간 내 샛강형 수로의 서식환경 특성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tream-type Waterways Constructed at Upper Reaches of Guem Riv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1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금강 상류지역에 조성된 26개의 샛강형 수로에서 서식처로서 효율성과 보전방안 마련을 위해 하상기질, 환경요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85과 160종 9305개체 m-2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이 출 현하였으며, 하상기질이 주로 굵은자갈 (Pebble)과 호박돌 (Cobble)로 구성되거나 빠른 물 흐름 (0.2 m s-1 이상)과 높은 용존산소 (120% 이상)를 가진 샛강형 수로에서 높은 종다양 성이 목격되었다. 유사도 분석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과 비모수다차원척도법 (NMDS)의 결과, 26개의 샛강형 수로는 총 3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클러스터 1에서 아가미지렁이, 연못하루살이, 아시아실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물달팽이 등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종은 수생식물과 관련되었으며, 깔따구류, 실지렁이, 늪깔따구류 등은 하상기질이 진흙 (Silt and clay)이며, 탁도와 총인이 높은 샛강형 수로에서 주로 우점하였다. 클러스터 2에 포함된 저서성 대형무 척추동물종 (꼬마줄날도래, 알통하루살이, 동양하루살이, 털날도래 KUa, 큰줄날도래, 플라나리아, 작은강하루살이, 다슬기, 긴다리여울벌레, 등줄하루살이)들은 굵은자갈 (Pebble) 및 가는자갈 (Gravel)의 비율이 높고, 유속이 빠른 지역에서 주로 풍부하였다. 클러스터 3은 주로 호박돌 (Cobble)로 주 로 피복된 지점들이었으며, 먹파리류의 빈도가 높았다. 이 와 같이 조사지역의 분명한 구분은 각 샛강형 수로가 명확한 서식환경에 의해 지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종다양성이 낮은 지점의 경우, 유입·유출부의 기능 개선, 사행조성, 호안부 식생 정착 유도 등의 자연성 회복을 위한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Microhabitat In the upper stream is created by various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the bottom substrate and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ay influence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 investigated the bottom substr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26 stream-type waterways established at upper reaches of Geum River. During study period, total 85 families, 160 species, 9305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recorded. The stream-type waterways, where the bottom substrates consist mainly of pebble (16~64 mm) and cobble (64~256 mm) or with rapid water velocity (more than 0.2 m/s) and high dissolved oxygen (more than 120%), were supported by high species divers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Hierological cluster analysis and the nonparametric multidimensional scale (NMDS) divided 26 stream-type waterways into a total of three clusters. In Cluster 1, the invertebrate species, such as Branchiura sowerbyi, Cloeon dipterum, Ischnura asiatica, Paracercion calamorum, and Radix auricularia, closely related to aquatic macrophytes, and Chironomidae spp., Limnodrilus gotoi, and Tanypodinae sp. were abundant in waterways, with high coverage of silt and clay as well as high turbidity and total nitroge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species (Cheumatopsyche brevilineata, Drunella ishiyamana, Dugesia japonica, Ephemera orientalis, Gumaga KUa, Macrostemum radiatum, Potamanthus formosus, Semisulcospira libertine, Stenelmis vulgaris, and Teloganopsis punctisetae) included in Cluster 2 were dominated in sites with high cover rates of pebble and gravel. Cluster 3 was predominantly covered by the Cobbles, was supported by Simulium sp. Such a clear distinction in the study sites means that each stream-type waterways is governed by a clear habitat environment. In the case of some sites with low species diversity, improvement measures are required to restore nature, such as improving the function of inflows and outflows, creating meandering channel, and inducing the settlement of littoral vegetation.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점 현황
    2. 환경요인의 측정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
    3. 자료 분석
결과 및 고찰
    1. 샛강형 수로의 서식환경 특성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구조
    3.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미소서식처 활용
    4.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종다양성 확보를 위한샛강형 수로의 관리방안
적 요
REFERENCES
저자
  • 손세환(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Se-Hwan Son (Department of Life Science, Kyonggi University)
  • 최종윤(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Jong-Yun Choi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