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on Teachers' Job Attitud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2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설문 조사는 울산에 소재한 12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최종 270부를 분석에 활용했다.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만족도에 직접효과를 미치지 않으나, 간접효과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었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직무몰입에 직·간접적인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 을 매개변수로 투입될 때 직무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코칭리더십은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장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자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은 코칭리더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장의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자율성을 통해 교사들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학교 성과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에 따른 이론적, 실증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which is a teacher's job attitude. The resulting survey was distributed to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Ulsan and the final 27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confirm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se variable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eacher job satisfaction. However, in the case of indirect eff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Second,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eacher job commitment. Coaching leadership directly affected job commitment, and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as mediators, indirectly affected job commitment. Third, coaching leadership had a direct effect on the path to the teacher's job autonomy. In other words, the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teacher's job autonomy. Fourth,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job commitment, similar to coaching leadership. Based on the results principal's coaching leadership wa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school performance by positively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which is the job attitude of teachers through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리더십, 직무만족, 직무몰입 간의 관계
    2.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3. 직무자율성(job-autonomy), 직무만족, 직무몰입 간의 관계
    4.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직무만족, 직무몰입간의 관계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연구모형 검정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박주영(울산광역자활센터) | Park Ju-Young (Ulsan Metropolitan Self-sufficiency Cente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