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기 여성을 위한 회복탄력성 향상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KCI 등재

Improving Resilience for Middle-Aged Women: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2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적용의 타당성 검토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와 면담을 통해 코칭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9명씩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12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6월 25일부터 동년 12월 3일까지 12주 동안 서울·경기지역 평생교육센터에서 운영하는 코칭프로그램에 참여한 40대-50대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증을 위해 코칭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난 후 회복탄력성에 대한 사전-사후-추후 t-test 검정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분석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성 등 3가지 하위영역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칭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에게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기조 절능력, 대인관계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공정성의 경우 ‘생활만족도’를 제외한 ‘자아낙관성’과 ‘감사하기’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ACTIVE 코칭대 화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본 프로그램은 중년기 여성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며, 코칭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coaching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In this study, coaching programs were selected and appli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pplying coaching programs that improve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program research, 19 people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12 coaching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Furthermor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post/post/post surve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 and 50s who participated in a coaching program by the Lifelong Education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12 weeks from June 25, 2019 to December 3, 2019. After the coaching program was conducted for verification, pre-post/post/post t-tests were conducted on resilience. Statistical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SPSSWIN 21.0. The analysis of resilience was conducted in three sub-regions: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skills, and positivity. Studies have shown that coaching progra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middle-aged women. However, in the case of fairness,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elf-optimality’ and ‘audit’ except for ‘life satisfaction’. Therefore, based on the ACTIVE coaching dialogue model, this program is expected to help improve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This program is also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researching coach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년기 여성
    2. 회복탄력성
    3. 코칭프로그램
    4. ACTIVE 코칭대화모델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과정
    3. 측정도구
    4. 연구절차
    5. 분석방법
Ⅳ. 중년기 성인 여성 대상 코칭프로그램 구성 내용
    1. 프로그램 구성 절차
    2. 프로그램 구성 내용
Ⅴ. 연구결과
    1. 동질성 검사
    2. 코칭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분석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정하윤(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 Jung Ha-Yoon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코칭학과) | Do Mi-Hyang (Department of Coaching,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