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공원 입지의 방문 잠재력 평가: 서울시 도시자연공원구역을 사례로 KCI 등재

An Evaluation of the Visit Potential of an Urban Park Location based on Spatial Efficiency and Equity: The Case of Urban Natural Park Districts in Seou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44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1.21.1.0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도시공원은 시민의 여가 공간으로 시민들이 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는 공원이 제공하는 사회적 효용을 측정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시민들이 도시공원을 방문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문 잠재력 지수를 제안한다.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 입지의 공간적 효율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을 결합하고 있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은 공원의 서비스 권역 내에 거주하는 인구 분포로 측정했으며, 도시공원의 기회 대체성은 인접 공원의 이용 가능성으로 측정하였다. 도시공원의 공간 접근성과 기회 대체성은 각각 수요와 공급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이를 결합한 방문 잠재력 지수는 공원의 공급 필요성이 큰 입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사례 분석으로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서울시 도시자연공원구역의 방문 잠재력을 실증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서 제안하는 도시공원 방문 잠재력 지수는 도시공원의 입지적 가치를 다각도에서 포착하고 유연한 평가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입지와 신규 후보 입지 모두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 urban park is a leisure space for citizen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park is visited can thus be a useful index for measuring the degree of social utility provided by the park. This study proposes the Visit Potential Index (VPI) which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an urban park is visited based on its locational properties. The VPI combines the concepts of spatial accessibility and opportunity fungibility by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s well as equity.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an urban park i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residents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park, while the opportunity fungibility of an urban park is defined in terms of the availability of neighboring parks. Since spatial accessibility and opportunity fungibility are demandand supply-side concepts respectively, the VPI can effectively reveal the locations that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park service. As a case study, we evaluate the visit potential of urban natural park districts in Seoul, which are of increasing social interest, in regard to the Sunset law. The VPI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evaluating new and existing locations of urban parks by providing a more flexible way of assessing their locational values from multiple angles.

목차
I. 서론
II. 선행 연구
III. 도시공원 입지 평가 모형
IV. 서울시 도시자연공원 구역 평가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박혜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HyeHyeon Bar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건학(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Gunhak Le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