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내·외적 자원, 사회적 위축, 우울의 관련성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내외적 자원과 사회적 위축, 우울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6차년도(2016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적 지지 중에서 부모지지와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감, 우울의 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지지는 사회적 위축감, 우울에서 모두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위축과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위축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 소년의 우울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및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Researc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6thsurvey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in which 1,263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kinds of social support, the parent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eachers’ support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erms of their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Second,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de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social intervention that could help lower level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우울
    2. 사회적 위축
    3. 내·외적 자원
    4. 내·외적 자원, 사회적 위축, 우울의 관련성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분석자료 및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변수의 타당도 및 평균점수
    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4. 연구모형 검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천지은(중부대학교 학생성장교육혁신원) | Chun Ji-eun (Center for Student Growth & Education Innovation, Joongbu University)
  • 박지선(우송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ark Ji-sun (Dept. of Social Welfare, Woosong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