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불교와 진화생물학적 인간 해석에 대한 비교분석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human interpretation of Buddhism and Darwin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진화생물학적 ‘유전자 결정론’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회의를 표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불교에도 무아사상(無我思想)을 말하며 존재에 대한 부정을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 이론의 사고(思考)는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적 사고로 빠질 수 있는 이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회의주의적 시선을 잠재우기 위해 불교에선 불성(佛性)을, 그리 고 진화생물학을 대두시킨 도킨스는 밈(Meme)을 내세운다. 불교에서 말 하는 불성의 상징은 무명(無明)을 벗은 ‘깨달은 자’이다. 이러한 각자(覺 者)는 세상 만물이 항상 함이 없고[無常] 서로 연기(緣起)되어 있음을 알 아 아상(我相)에 대한 분별심이 없다. 따라서 불교에서는 아상을 부정하 고 진아를 깨달음으로써 이고득라(離苦得樂)을 삶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도킨스가 주장하는 ‘밈(Meme)’, 즉 문화적 유전이 우리를 진보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도킨스의 진화생물학의 환원주의적 시선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일단 진화생물학은 시종일관 인간을 다른 자연 만물과 동일한 위치에서 해석하다 다소 급하게 ‘밈’이라는 개념을 도입하 면서 인간의 주체와 자율성을 회복하고자 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 역설에 가깝다. 이러한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결국 진화생물학적으로 본질적 인간 존재는 DNA의 운반체이고, 우리의 모든 욕구와 의지가 DNA의 맹목적 생존과 결부되어 있다면 인간의 주체성과 자율성은 확보될 수 없는 것으 로 보이며, 이에 회의주의 또는 허무주의의 대안으로는 한계가 있는 이론 이라 하겠다. 위와 같은 비교연구는, 불교의 입장에선 다소 초월적으로 여겨졌던 무아사 상을 진화생물학적 근거를 빌려 방편적으로 설명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진화 생물학적으로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함정, 즉 주체성과 자율성의 확보문제를 불교적 교리가 그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불교와 진화생물학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If we look at humans in evolutionary biology, it is not easy to secure a subjective and autonomous human form. Evolutionary biology interprets human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 determinism,” interpreting human will as beings that are bound to act in favor of the blind survival of DNA. This evolutionary biological interpretation has sufficient logic to lead our attitude toward existence and life to nihilism or skepticism. Similarly, Buddhism denies the existence of the universally thought of “I”. The logic of Wu-Wo[無我] in Buddhism is materialistically explained as Wu-Chang[無常] and Yuan-Qi[緣起], and spiritually, Shi-Er-Chu[十二處] and Wu- Yun[五蘊] explains Wu-Wo[無我] and dismantles the existence of 'I'. In this respect, both theories have a theoretical similarity in that the primitive "I" used by mankind is not a substance. However, the ideas of these two theories may be considered skeptical thinking. In order to calm these skeptical gazes, Buddhism suggests Fu-Xing [佛性], and Dawkins, who brought up evolutionary biology, suggests ‘Meme’. Here, the directions of the two theories are completely different. The symbol of Fu-Xing[佛性] in Buddhism is the “enlightened one” free from Wu-Ming[無明]. These enlightened ones know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not eternal, but are related to each other. Those who realize this do not make absolute judgments on everything. It doesn't cause an obsession with something. These enlightened ones are those who do not get stuck in everything and are not psychologically disturbed. The enlightened person here has a cosmic meaning. The meme that Dawkins claims is that culture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imitating certain thoughts or beliefs, and that culture can advance us. In other words, we have an intrinsic selfish gene, but by cultural cloning and progression of memes, we can move forward to a better self and society. However, the reductionist gaze of Dawkins' evolutionary biology seems somewhat unreasonable. First, evolutionary biology continues to interpret humans as being identical to animals. Howev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eme’ somewhat urgently, they are trying to recover the human subject and autonomy. This is actually a paradox. Even if these problems are traced, it seems that human existence is a carrier of DNA in evolutionary biology, and human subjectivity and autonomy cannot be secured if all our desires and wills are linked to the blind survival of DNA. Nevertheless, it seems to be a very clear and rational theory to explain the origin of human existence in evolutionary biology or to explain where human needs originated. If you look at it in Buddhism, it will be a very interesting part in that the selfless though,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central idea of Buddhism for a long time, is explained to some extent scientifical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진화생물학적 인간 해석에 대한 담론과 한계
    1. 인간 존재와 의지에 대한 진화생물학적 설명
    2. 유전자 결정론과 자유의지
Ⅲ. 불교의 인간 해석에 대한 담론
    1. 불교적 존재에 대한 논리와 함의
    2. 無我思想과 자유의지의 관계와 가능성
Ⅳ. 불교와 진화생물학의 인간 해석에 대한비교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종용(동국대학교 선학과) | Kim Jong-Yong (Dept. of Seon Studies, Dongguk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