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디어에 나타난 만해상(卍海像)과 그 의미 KCI 등재

The image of Manhae in the media and its mea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만해(萬海) 한용운(韓龍雲,1879~1944)은 승려이자 독립운동가였으며 문학가로 치열한 인생을 보냈다. 그의 이러한 삶은 각종 언론보도를 통해 다양하게 드러나고 해석됐다. 대중은 언론을 통해 만해의 이미지를 받아 들였다. TV,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 인터넷 등 미디어는 정보를 전송 한다. 근대화 초기에는 신문과 잡지가 주류를 이뤘다. 정보 전달은 물론 시대의 정신과 대중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다. 이런 점 에서 언론에 등장한 한용운의 기사를 연구하여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한용운은 독립운동에 참여해 민족의 고통을 극복하려고 했고, 승려로서 한국불교의 혁신을 꿈꾸었다. 깨달음을 구하는 승려의 본분도 발견할 수 있다. 한용운의 또 다른 삶은 문학인(文學人)이었다. 시대를 넘어 꾸준히 사랑받는 작품을 발표하면서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1945년 8월 15일 일제의 식민통치가 막을 내린 뒤에는 한용운의 이미지는 보다 구체화되고 확장되었다. 면모가 더욱 세밀하게 드러나고 매체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되었다. 특히 일제의 박해와 기만에도 뜻을 굽히지 않고 끝까지 지조와 절개를 지켰다는 이미지가 대중에게 각인됐다. 불의와 비굴을 용납하지 않는 학덕이 높은 선승이며 타협이 없는 독립지사였다. 미디어에 나타난 한용운의 이미지를 보다 광범위하게 살피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화제이다.

Manhae(萬海) Han Young-woon(韓龍雲, 1879-1944) was a monk, independence activist, and literary artist. His life was revealed and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rough various media reports. The public accepted the image of Manhae through the media. Media such as TV, newspapers, magazines, radio, movies, and the Internet transmit information. In the early days of modernization, newspapers and magazines were dominated. It is an important tool not only to convey information, but also to confirm the spirit of the times and public perception. In this respect, it is meaningful to study and analyze Han Young woon articles appearing in the media. As mentioned earlier, Han Young-woon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ried to overcome the suffering of the nation, and as a monk, he dreamed of innovation in Korean Buddhism. The duty of a monk to seek enlightenment can also be found. Another life of Han Young-woon was a literary man. It has been loved by the public by releasing works that have been steadily loved throughout the times. Aft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on August 15, 1945, the image of Han Young-woon became more concrete and expanded. The aspect was revealed in more detail and was conveyed vividly through the medium. In particular, the image of keeping the spirit and incision to the end was imprinted on the public despite the persecution and decep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as a highly educated scholar who did not tolerate injustice and injustice, and was an independent governor without compromise. It is the topic of future research to examine the image of Han Young-woon in the media more broadly.

목차
<국문초록>
Ⅰ. 글을 시작하며
Ⅱ. 일제강점기 미디어에 등장하는 만해 이미지
Ⅲ. 해방후 미디어에 나타난 만해의 이미지
Ⅳ. 그밖의 미디어에 나타난 만해 이미지
Ⅴ. 글을 마무리 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성수(불교신문 편집국) | Lee Sung-soo (THE BUDDHIST NEWS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