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KCI 등재

Perception of the Director and Childcare Teachers on the Job Competency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어린이집 원장 85명과 보육교사 2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 차이는 어린이집 원장이 근무하고 있는 기관유형과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공립 어린이집 원장이 가정어린이집 원장보다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았고,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가진 원장의 직무역량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원장의 직무역량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보다 가정, 직장, 국․공 립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가 원장의 직무역량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고, 원장과 보육교사 모두 원장의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는 직무역량의 하위요인 중 비전 및 목표관리 영역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린이집 원장보다 보육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job competency of the head of a childcare facility. The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f the head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care teachers. 85 heads of childcare facilities and 261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one-way variabl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trade volum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ead of a childcare center. National and public facility operators were more professional than home facility operators.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job competency. Second, differences in job compet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care teachers resulted in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facility's manager's job competency. Workers at home facilities, workplace facilities, and state-run and public facilities were more aware of the facility's head's job competency tha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private facilitie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head of a facility and the childcare teacher on the job competence of the head of a childcare facility resulted in the highest recognition of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by both the head of the facility and the childcare teacher. Vision and goal management were found to be highly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than the facility manag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어린이집 원장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역량 인식 차이
    2.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인식 차이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차이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종미(경기대학교 유아교육과) | Kim Jong M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 부성숙(경기대학교 유아교육과) | Pu Sung Soo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