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Legal Status of Seafarers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035
  • DOIhttps://doi.org/10.14443/kimlaw.2021.33.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海事法硏究 (해사법연구)
한국해사법학회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Law)
초록

한국선원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선원의 직무상 재해율 9.49%는 고용노동부에서 발행한 2020년 산업재해 현황분석에 따른 육상노동자 사고 재해 율 0.49%보다 19.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선내안전보건과 관련한 사고율이 심 각한 수준이다.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2019년 산업재해 발생현황에 따른 우리 나라 사고 사망만인율(0.46‱)은 선진국(영국 0.04‱, 일본0.15‱)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다.
선원재해예방을 위한 선내안전보건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의 정비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이행하는 수범자인 선박소유자와 선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선원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박소유자의 의무 준수와 더불어 선박소유자의 조치에 대한 선원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동안 선내안전보건의 문제는 선박소유자의 이행의무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로 인해 선원은 선내안전보건에 있어 주로 권리의 향유주체로 인식되 어왔다. 그러나 선내안전보건에 있어 선원은 주로 권리의 향유주체이지만 이와 동시에 의무의 당사자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원재해예방을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선내안전보건 에 있어서 선원의 권리와 의무를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선원이 선원재해예방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도록 선원의 법적지위의 재정립 방안을 연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의 공법상 권리 및 사법상 권리를 부여할 수 있도록 선내안전보건기준을 시급하게 제정·시행하여야 한다. 둘째, 선원의 제3자에 대한 배려, 위험에 대한 보고의무, 주의의무 등 선원의 의무 확 대가 요구된다. 셋째, 선원법상 안전배려의무를 명문화하여 선원 스스로 안전 보건기준의 준수 및 이행에 있어 적극적이고 주체적 역할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안전배려의무의 위반 시 선원의 이행청구권도 인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9.49 percent for seafarer in 2020 according to the Korea Seafarer’s Statical Year Book is 19.4 times higher than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0.49 percent for shore worker according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in 2020 issu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ur. It means that the occupational accident rate of Seafarers is a very serious level. Korea's accident mortality rate(0.46‱)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s 2019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s also very high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UK 0.04‱ and Japan 0.15‱).
In order to improve the standard of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ship for the prevention of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not only the improvement of relative regulations is important, but also the roles of shipowners and seafarers who implement them are important.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it is essential to comply with the obligations of shipowners related to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as well as to cooperate with shipowners' actions.
In the meantime the issue of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has been discussed mainly by shipowners' performance obligations. As a result, seafarers have been recognized primarily as enjoying rights relating to the safety and health on board a ship. However, in respect of the safety and health aboard, seafarers are those who should primarily enjoy rights, but at the same time they are also parties subject to obligations.
As a solution for preventing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this study intends to study and propose amendments to redefine the seafarer’s legal position so that the seafarer can be independently and actively involved in preventing the occupational accident of seafarers through a comparative law review of crew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safety and health aboar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s on the safety,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on board should be legislated and enforced in order to provide seafarers with rights of both public and private law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seafarers’ duties such as safe care for a third party, duty of reporting hazards, duty to take caution. Third, the duty of care for safety should be explicitly introduced in the Seafarers’ Act in order for seafarers to enable them to play positive and key roles in observing and implementing the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nd seafarer fulfillment claims should also be admitted for the case of breaching the duty of care for safety.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선내안전보건 관련 우리나라 선원의 법적지위
    1. 선내안전보건의 헌법적 근거
    2. 선원의 공법상 권리와 의무
    3. 선원의 사법상 권리와 의무
Ⅲ.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비교법적 검토
    1. 선내안전보건 관련 국제규범 검토
    2. 영국의 산업안전보건
    3. 일본의 산업안전보건
Ⅳ.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개선 방안
    1.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비교법적 분석 및 시사점
    2. 선내안전보건 관련 선원의 법적지위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기선(한국해양수산연수원) | Ki-Sun Kim 대표저자
  • 전영우(한국해양대학교) | Yeong-Woo Je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