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방직후 북한의 토지개혁과 소설적 형상화 : 이태준의 『농토』를 대상으로 KCI 등재

The Land Reform in North Korea Right after Liberation of Korea and How It is Portrayed in Novels—Focusing on Farmland “Nongto” by Lee Tae-jo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이태준의 『농토』(1947)는 해방직후 북한 지역에서 실시된 토지개혁을 다룬 작품이다. 『농토』는 이태준이 월북 이후 처음 발표한 장편소설로 억쇠라는 인물이 노비에서 소작농, 농업노동자, 머슴 등 봉건제도의 희생자에서 토지개혁의 주체가 되는 농민으로 성장한다는 서사를 통해 해방직후 북한의 토지개혁 과정과 그 의의를 밝히고 있다. 이태준은 토지 소유자를 봉건적 지주, 자본주의적 고리대금업자, 일본의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회사, 친일파 관료 등 다양한 신분 구조로 변주하지만 결국은 토지를 소유한 자와 소유하지 못한 자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단순화시킨다. 이태준은『농토』에서 토지를 소유했는가 아닌가라는 이분법적 대립 구조를 통해 갈등을 선악구조로 단순화시켜 현실의 모순을 강화하였다. 해방직후 북한의 토지개혁은 1946년 3월 5일을 기하여 북한 전역에서 무상몰수 무상분배의 원칙에서 시행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지주층의 해체를 통한 봉건적 신분질서의 개혁을 목표로 하였다. 결국 이태준은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에서 시행한 토지개혁에 의해 이 문제가 해결 가능하다고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태준은『농토』 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토지개혁을 통해 모든 갈등이 해소되고 밝은 미래를 예견하는 것으로 마무리하면서 해방이전 작품 경향과 달리 사회주의적 낙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Lee Tae-joon’s Farmland (Nongto)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North Korea’s land reform through a narrative that tells how the main character Eoksoe changes: from a slave to a farmer, then a subject of land reform after being a victim of a feudal system such as a tenant farmer, an agricultural worker and a servant. In Farmland (Nongto), Lee Tae-joon portrays landowners as feudal landlords, capitalist loan sharks, Japanese colonial exploitation organizations, pro-Japanese group, etc., but he eventually divides them into two groups—those who own land and those who do not. The status of Eoksoe undergoes many changes. He experiences the sorrow of those who do not own land. In Farmland (Nongto), Lee Tae-joon finds the source of conflicts in a dichotomous structure of land ownership, and replaces it with the structure of good and evil. All conflicts are clearly highligh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owners and tenant owners. However, the conflicts are uniformized. The land reform in North Korea was implemented following the principles of free distribution after confiscation and was ultimately aimed at reforming feudal status order by dismantling the landowner class. North Korea’s land reform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nfiscation and free distribution, and was used as a political tool to promote the superiority of the socialist system. However, in Farmland, through the land reform under the socialist system, all conflicts are resolved and a bright future is foreseen, which shows socialist optimism.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분법적 구조와 갈등의 단순화
    1. 봉건적 신분제도의 모순과 자기부정
    2. 국외자의 시선에서 본 농촌의 현실
    3. 직접 경험한 농촌의 현실 모순
    4. 토지 소유 문제와 갈등의 획일화
Ⅲ. 긍정적 요소를 통한 갈등의 해소
    1. 사회주의 사상과 의식의 성장
    2. 분이와의 혼인과 미래의 희망
Ⅳ. 토지개혁의 형상화 과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양윤모(극동대학교 교양대학) | Yang Yoon-mo (College of Liberal Arts, Far East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