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KCI 등재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코칭역량을 보다 신뢰롭게 측정하여 자신의 교수역량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도록 돕고, 향후 코칭역량에 기반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를 개 발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의 문항 구성은 1차 예비문항선정 과정, 2차 척도 개발 과정, 3차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총 3차의 과정을 거쳐 진행되었으며 긍정역량, 성장역량, 관계 역량, 질문역량, 경청역량, 인정․피드백역량의 6가지 구성요인, 36문항이 선별 되었다. 두 번째,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의 Cronbach‘s α계수와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개발된 6가지 구성요인은 긍정심리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코칭에 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여 자기평가도구로서 유아교사의 코칭역량을 증진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objectively recognize their teaching competency and to measure coaching competence more reliably to enable various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al approaches based on coaching competence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the item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was conducted through three steps: preliminary item selection process, scale development process, and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Six components with 36 questions were selected: competency, questioning competency, listening competency, and recognition/feedback competency. Seco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Cronbach's α coefficient and model fit index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Conclusion, the six components develop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re important factors constituti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2. 긍정심리이론 기반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3.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구성요인
Ⅲ. 연구방법
    1.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 절차
IV. 연구결과
    1.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구성요인
    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증
    4. 척도개발 결과
IV.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근주(아산시육아종합지원센터) | Kim Kun Joo (Asan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Corresponding Author
  • 도미향(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Do Mi-Hyang (Department of Child Welfare, Namseou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