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야간 인공조명 세기 변화 KCI 등재

The Change of Nighttime Lights Intensity in the Elementary Local Self-Governmen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in association with COVID-19 Pandem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648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1.21.2.1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는 전 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코로나-19 발생률이 높은 서울특별시에서는 다른 광역시도보다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토지피복지도와 야간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2020년 4월과 2021년 4월 사이의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야간 빛세기 변화 패턴을 조사하였고, 누적 확진자와 야간 조도 변화 간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거지역의 빛세기 증가는 대부분 자치구에서 나타났고, 면적 및 코로나 -19 누적 확진자 수와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특정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난 상업지역의 빛세기 감소는 면적과 상관성이 있었으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와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유동인구와 같은 다른 변인과 상업지역의 야간 조도 변화를 고찰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n recent years, the COVID-19 has entered into pandemic era in the world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strengthened social distancing measure has been taken in Seoul Metropolitan City whose COVID-19 confirmed cases were higher than the other province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s of nighttime lights (NTL) change and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the confirmed cases and the changes of NTL for the city and its local governments, using nighttime remotely sensed imagery and land use and land cover data. The increase of nighttime illumination in residential land use was identified in most local governments, and it was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both the physical area of residential land use and COVID-19 confirmed cases. In contrast, the decrease of NTL in commercial area observed in some regions, and it was correlated only with the physical area of commercial land use. In association with this results, a future study is expected to incorporate the other variable such as floating population for analyzing the NTL change of commercial land use.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연구 자료
III. 연구 방법
IV. 결과
V. 논의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민호(상명대학교 공간환경학부) | Minho Kim (College of Space Environment, Sangmyu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