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광역시 달서구 외국인 밀집 지역 외국인의 공원이용특성 및 만족도 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1 KCI 등재

The Effect of Park Us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Dalseo-gu, Daegu City on the Quality of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9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최근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거주지 주변에 있는 공공재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의 공원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원 계획의 기초가 되는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의 공원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 달서구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 이용특성과 공원 만족도가 체류 외국인 이용자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2개의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172명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분석에 따르면 공원 이용 패턴의 경우 응답자의 45.9% 가 매월 1, 혹은 2회 정도 공원을 방문했다. 그들의 공원 이용목적은 운동이었으며 공원의 체류시간은 1시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0% 이상이 야간에 공원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했으며, 대부분의 외국인 응답자들은 걸어서 20분 이내인 공원 주변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이용특성과 만족도가 외국인 거주자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ANOVA 검정을 통해 조사하였다. 먼저,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은 외국인 응답자는 일주일에 1회 내지는 2회 정도 공원을 이용한다는 응답자였다. 반면 매일 공원을 이용한다는 외국인 응답자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에서 공원까지 접근시간이 30~40분 거리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낮고, 접근시간이 10분 이내인 외국인의 삶의 질 지수가 가장 높았다. 한국에서 거주하는 외국인의 삶의 질과 공원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1% 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공원 시설과 관련된 9개 요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 따르면, 그 중에서 9개의 요인 중 공원의 ‘자연적 시설’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외국인 공원 이용자들의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이전까지 없었던 외국인 밀집지역에서 외국인들의 공원이용 특성과 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외국인의 공원 이용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고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원 계획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the use of public goods around their residences is also increasing, and parks in cities may not be an exception.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been found on the park usage behavior of foreigners in densely populated areas underlying the park's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dense foreign residential areas in Dalseo-gu, Daegu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foreign users. In this study, two urban parks were selected based on data analysis among various target sit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172 surveys conducted on users of the park. According to statistical analysis, 45.9 percent of respondents visited the park once or twice a month for park usage patterns. Their purpose of using the park was to exercise and the park's stay was within an hour. More than 50 percent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o use the park at night, with most foreign respondents living around the park less than 20 minutes on foot. The us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park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OVA test on the quality of life of foreign residents. First, foreign respondents with the lowest quality of life index used the park once or twice a week. On the other hand, foreign respondents who use parks every day ha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index. The quality of life index of foreigners, whose access time is 30 to 40 minutes from home to the park, was the lowest, and the quality of life index of foreigners with access time within 10 minutes was the high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the satisfaction of park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1% significance level, and nine factors related to park facilities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among the nine factors, the park's "natural facilities" factor has a greater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foreign park users than other factor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areas with concentrated foreigners, and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how to induce foreign residents to use park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지
    2.2 대상공원의 물리적 환경 특성
    2.3 설문조사
    2.4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이용자의 사회적 특성
    3.2 이용행태 분석
    3.3 이용만족도 분석
    3.4 삶의 질과 이용행태, 이용만족도간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곤요(계명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생태조경학전공) | Kunyao Li (Dept. of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 김수봉(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Soobong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eimy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