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유적지공원의 역사문화경관 조성사례 연구 - 정저우시 4개 도시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Landscape Design Approaches in Historical Parks in China – Focused on Four Urban Parks in Jeongju City, Chin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9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정저우시에 최근 조성된 상성유적공원, 상성공원, 인민공원, 자형산공원 등 4개 유적지 공원을 대상으로 6개의 경관요소 즉, 전통수종, 역사적 폐허 및 유적, 전통건축, 조형물, 도로포장 및 소재, 수경요소 등의 측면에서 지역문화경관의 적용 및 문제점을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통건축과 역사적 폐허 및 유적의 관리 측면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상성 유적공원, 상성공원, 자형산공원에 조성된 전통건축은 모두 송나라 이후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어 상나라시대의 건축적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인민광장의 경우 유적은 반개방적인 방법으로 보존 전시하고 있으나 부실한 관리로 인해 유적의 인위적인 훼손이 심각하고 특히 유적지의 고목들이 벽체를 크게 훼손하고 있다. 조형물 측면에서는 인민광장의 경우 상나라시대와 관련된 조형물이 없으며 도로포장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상성공원의 일부에만 문화적 토템이 적용되었을 뿐 공원 도로포장의 대부분이 현대식 포장으로 인해 지역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전통 수종 측면에서는 상성유적공원과 인민광장의 경우 대부분 전통수종을 식재했으나 상성공원 및 자형산공원의 경우 외래수종이 많아 지역 고유의 자연경관 을 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면밀한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지역문화경관의 구성요소 및 설계원칙을 고려하여 개선해 나갈 필요가 있다. 수경요소는 자형산공원에만 적용 되었으나 지역특성을 상징하는 황하강을 모티브로 한 은유적 설계의 적용이 부족하다.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은유적 표현 방법과 의미 해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status of cultural expression and use of the park as basic elements of the local landscape, including "Native Plants", "Ruins of History", "Traditional Buildings", "Structures", "Road pavements and Materials", and "Water Feature". As a result, the overall use of native plants and sculptures is good. Among the ruins and historical elements left by history, the rest of the parks, except for the People's Square, need serious improvement in the damage caused by the historical subjects due to negligence in management and initial planning. All four road pavement parks need more metaphorical designs that incorporate colors and patterns to suit local cultu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improve is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modern architectur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park did not match the local culture style. Finally, Zijingshan Park was equipped with Water Feature elements, while the rest of the park did not have Water Feature design. However, the design of Water Feature elements in Zijingshan Park does not conform to local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use of indigenous plant elements can represent the natural scenery of local characteristics, but it can ignore the tastes of park user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does not directly clarify the method interpretation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metaphors due to the lack of more detail on metaphors methods. Future research on this needs to be supplement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지역문화경관의 표현과 경관요소
    2.2 지역문화경관의 설계요소
3. 연구방법
    3.1 연구방법
    3.2 대상지 선정
4. 연구결과 및 고찰
    4.1 상성유적공원
    4.2 상성공원
    4.3 인민광장
    4.4 자형산공원
5. 결론
References
저자
  • 허희염(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Xiran X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김진오(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Jinoh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민병욱(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Byoungwook 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 Hee University)